<데스크시각>박종천 정치부장
| 박종천 정치부장 |
현대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국가에서 정당정치를 시행하고 있다.
정당은 정권 획득을 목적으로 하며, 정권을 지키거나 탈환해 오기 위해서는 유권자(국민)들의 환심을 사야 하고,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는 좋은 정책, 민생챙기기, 지지계층의 이해 대변, 도덕적 활동 등으로 경쟁할 수밖에 없다.
충북지역에서도 제1당이자 여당인 한나라당과 제2당이자 야당인 민주당 간에 때때로 성명전을 벌이며 신경전을 펼치는 경우가 있다.
지역에서지만 정권을 빼앗고 빼앗긴 정당들 사이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고, 그런 경쟁이 정책·민생 경쟁으로 이어져 지역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에 행복도시 예산축소와 관련하여 한나라당 충북도당이 성명을 발표했으나 핵심을 잘못 짚고 너무 안일하게 대처한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을 지울 수없다.
발단은 민주당 충북도당이 지난 9일 행복도시 축소 우려와 관련하여 이명박정부를 비난하고 원안 건설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다음날인 10일 즉각 "(행복도시는) 정책의 타당성이나 실효성의 문제보다도 정치적 신뢰성의 차원에서도 반드시 이뤄지는 문제로 한나라당이나 정부의 기본입장이 변함없는 만큼 원안대로 추진될 것"이라며 "민주당(충북도당)도 여론을 호도하는 주장만 하지 말고 세종시 건설에 적극 협조하라"는 대응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성명은 본보가 특종 보도한 대로 이미 내년 행복도시 예산을 주무당국인 행복도시건설청이 당초계획보다 절반으로 줄여버린 상황임에도 '신뢰성 차원에서 차질없이 될 것"이라고 한가한 소리나 늘어놓고 있는 꼴이다.
가뜩이나 지난 5월 17대 국회 마지막 회기까지 세종시설치법을 한나라당의 반대로 처리되지 않아 자동폐기된 마당에 이런 보도를 접한 충청지역 주민들의 행복도시 축소 또는 폐지에 대한 우려는 심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행복도시 건설에는 해마다 이 정도는 꼭 필요하다고 자신들(행복도시건설청)이 스스로 세워놓았던 예산 계획을 갑자기 새 정부들어 처음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내년도 예산안에서는 대폭 줄여놓았으니 "행복도시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점점 사실로 드러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는 게 당연하다.
이에따라 충청 지역 국회의원들과 자유선진당이 관련부처를 항의방문 하는 등 파문이 거세지고 있는 것은 지역의 삼척동자도 다 알 정도이다.
게다가 같은 한나라당 소속인 충청권 3개 시·도지사들도 부랴부랴 "주민들 우려가 확산되고 있으니 정부가 빨리 입장을 명확히 밝혀달라"는 대정부 공동 건의문까지 냈을 정도로 이번 사안은 심각성을 띄고 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이번 사안을 라이벌(민주당 충북도당)과 정치적 수사로 성명전이나 벌일 대상으로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지적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한나라당 충북도당도 이번처럼 지역 공동의 현안에 대해서는(민주당과 같을지라도) 정확하게 지역 주민들의 우려와 정서를 중앙에 전달·대변하는 것이 평소 수없이 내세웠던 '정책정당'이자 '지역주민을 위한 정당'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