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권역ㆍ7개 부분별 구상안 제시‥2020년까지 육성
이같은 발전 전략방안은 천안시가 충남전략산업기획단(책임연구원 한무호)에 의뢰해 제출받은'2020년 천안시 장기발전계획(안)’에 의한 것으로 향후 시민 들과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 해 시정방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계획안에 따르면 천안을 살기좋은 지식기반 경제도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4개 권역, 7개 부문별 기본구상안이 필요하다고 중심 맥을 제시했다.
권역별 안으로는 △ 도시중심권은 국제비지니스 및 금융서비스 등 업무중심지역으로 △ 북부권은 학술·연구중심의 첨단지식기반 산업육성지역 △ 동부권은 역사·관광·휴양중심의 문화 핵심지역 △ 남부권은 환경보전을 기반으로 한 복지중심지역으로 육성하도록 권고했다.
부문별 안은 2020년 인구를 과거추세연장법과 비교유추법에 의해 100만명을 예측하고 △ 산업경제부문은 ‘지식기반산업 중심의 경제도시’를 비젼으로 삼아 첨단지식시반산업 육성과 친환경 자연순환농업 육성·물류 및 유통활성화를 목표로 지식기반 인프라구축·산업클러스트 고도화·지식기반 경제도시를 단계적으로 실현하도록 했다.
△ 교육문화관광부문에 있어서는 '시민의 삶이 실현되는 교육문화도시’를 추구하기 위해 학습하는 교육도시와 지역특성이 활용된 창조문화·녹색과 어울리는 도시관광 육성·시민이 즐기는 레저스포츠도시를 목표로 나갈 것을 제시했다.
△ 도시개발부문은 '쾌적하고 편안한 계획도시’를 위해 자연친화형 도시공간 조성과 첨단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을 목표로 도시환경기반 구성·차별화된 도시공간조성·미래형 균형도시의 추진체계를 밝혔다.
△ 사회복지부문은 '더불어 사는 복지도시'에 맞춰 문화복지카드제 도입과 사회복지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복지코디네이터제도 정착을 주문했다.
△ 자연환경부문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도시’를 목표로 생태네트워크 및 환경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해 환경지리정보망 구성과 소규모 마을공원조성·생태네트워크 체계를 갖추도록 요구했다.
△ 도로교통부문은 '편리하고 인간중심적 참단교통도시’비젼을 위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과 경전철 건설·도시 외곽순환도로 구축 등의 추진 로드맵을 설정했다.
△행정부문은 '시민감동 창조경영 도시’를 위해 광역도시 행정시스템 구축과 고객감동의 행정시스템·건전재정운영 등을 목표로 천안발전정책연구원 설립·광역적 지자체 공동 포럼운영·국제협력 전문가 육성을 제시했다.
시는 계획안을 행정중심복합도시 및 제3차 충청남도종합계획 등과 발전계획을 통해 수정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