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복합단지ㆍ로봇랜드 유치 경쟁

충청권 광역클러스터화 지지부진

대전과 충북의 지나친 헤게모니 쟁탈전으로 시급히 추진돼야 할 대덕과 오창오송의 광역클러스터화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대전시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염두에 두고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추진하고 있고 충북은 오송바이오생명과학단지를 배경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관계자들의 전언에 따르면 대덕과 오송은 원주 등과 함께 가장 유력한 첨단의료복합단지 후보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만약 대덕과 오송중 하나가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된다면 탈락 자치단체의 강력한 반발을 비롯해 극심한 후유증이 점쳐지고 있다.

더욱이 당초 일괄배치에서 의료서비스, 바이오, 의료기기 등 3개분야의 분산배치로 방향을 선회하는 듯하다가 최근 다시 일괄배치로 보건복지부의 방침이 정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지자체간의 신경전은 극에 달하고 있다.

또 지난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범위 확대를 놓고 충북이 오창의 특구범위 포함을 추진했던 것이 아직 앙금으로 남아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당시 충북은 생산용지가 부족한 대덕에 지근거리의 오창이 포함될 경우 보다 강력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논리로 특구범위확대를 강력히 추진했었으나 무산됐었다.

최근에는 포항시와 광주시가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등 특구범위 확대에 관한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마저 농후해 대전시가 바짝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대전시가 대덕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추진하고 있는 로봇랜드 사업을 두고 충북 역시 뒤늦게 로봇랜드 사업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이래저래 대전과 오창, 오송지역의 불꽃 튀는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제는 대덕과 오창오송은 대전과 충북이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해서 자치단체의 명운을 걸고 있는 지역으로 어느 것 하나 양보가 어렵다는 양 지역의 기본정서가 폭넓게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출범합의를 해놓고도 논의가 지지부진한 충청권 광역경제협의체도 대덕과 오창, 오송 등 전략단지가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지 못하는 한 헛 구호에 머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비관섞인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모 대학교수는 "현실적으로 대덕과 오창, 오송의 경쟁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대전과 충북이 행정구역을 넘어 금방이라도 협력할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 것은 지자체장의 쇼맨쉽일 뿐"이라고 일갈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