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이정규기자]25일로 취임 2주년을 맞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3년차 정책 초점을 경제활성화에 맞출 것으로 보인다.
 

연말정산 파동이니 증세·복지 논란 등을 해소하는 데 주력하면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을 본격화할 것으로 점쳐진다.
 

국가의 경제 성장률은 2013년 3.0%, 2014년 3.3%를 각각 기록해 세계 경제 성장률인 3.3% 수준에 도달했다.
 

경제지표만 놓고 보면 한국 경제는 2년 전보다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생산자물가는 2010년 11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대두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경제가 나아졌다는 느낌을 가질 수 없다는 말이다.
 

이완구 국무총리도 취임사에서 올해를 경제 도약을 이루는 결정적 시기라며 국민의 어려움을 풀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경제도 힘들기는 매한가지다.
 

▲ 본보 경제부 데스크 이정규 기자

충북의 경우 4% 경제실현이라는 대목표를 두고 연일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지역의 구도심 상권은 하나둘씩 점포를 철수하고 있다.
 

상인들은 임대료가 고정된 상황에서 매출이 오르지 않자 영업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내수가 풀리지 않으면서 지역으로서는 큰 이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결국 관광 수입의 효과를 얻기 위한 내실이 다져지지 않은 양상이다. 내수가 살지 못하면서 외부적 호재까지도 실효성을 얻지 못하는 씁쓸한 형국이 조성되고 있다.
 

경기를 살리기 위한 방안은 없는 것일까.
 

물론 한국도 선진국형 경제 패러다임기로 접어들면서 저성장 기조로 인한 경기 둔화가 된다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제는 필수가 돼버린 교육비 부담과 생필품, 과자 가격 인상 등 부식비의 오름은 한 가계의 생활비 정도를 높여 놓았다.
 

그러면서도 해외 여행이나 캠핑, 가족 여행비 등에는 전혀 아끼지 않는다.
 

구조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선택적 소비로 인한 조속한 경기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런 국민들의 생활 패턴을 이해하면서 이에 맞는 경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대통령의 지지율이 회복되고 있고 새 국무총리가 임명된만큼 그 어느때보다 기대감이 높아진 이때, 적절한 경제 정책은 국민들의 박수를 받을 수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