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에 있는 지인들이 청주·충북을 언급할 때 하는 말은 '교육도시', '교육도'다. 예전에 대학들이 많지 않고 먹고 살기 힘들어 고등교육 자체가 '사치'로 여겨질 때 청주에는 한수이남 가장 오래된 대학인 청주대가 있었고 서원대의 전신인 청주사범대학에 전국에서 학생들이 모여들었다.
 
그러나 청주·충북의 교육도시 이미지가 훼손됐다. 훼손되다 못해 전국에서 가장 부실한 대학이 많은 곳으로 인식될 위기에 놓였다.
 
지난 5일 교육부가 통보한 대학구조개혁 2차 평가 대상 대학에 충북에서 대상 10개 대학 중 6개 대학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대학들은 발끈하고 있지만 평가를 뒤집을 만한 여력도 없어 보인다. 대학 구조개혁은 전체 대학의 체질개선을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지난 2013년도 고졸자는 63만1835명으로 대학 입학 정원 56만 여명을 웃돌았다. 그러나 오는 2023년에는 39만7998명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대학 입학 정원을 현재보다 16만 명 을 줄이겠다는 특단의 대책을 내 놓았다. 줄어드는 고졸생으로 인해 대학 교수들이 직접 고등학교를 찾아다니며 학생 유치에 나서는 일은 이제 공공연한 사실이 됐다.
 
대학구조개혁이 꼭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평가방법이나 행정처리는 대학의 혼란만 가중할 뿐이다.
 
교육부가 지난 5일 2차 평가대상 대학에 통보할 때가 오후 6시쯤이다. 직원들이 퇴근할 무렵 사전 예고도 없이 전격적으로 통보가 이뤄졌다.
 
해당 대학에만 통보되면서 지금도 대학들은 평가 결과를 알기에 혈안이 됐다. 대학들이 교육부 등에 혈연, 지연, 학연 관계의 사람을 동원해 알아보는 촌극이 벌어졌다. 후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밀실행정의 전형이다.
 
불만을 제기하는 대학에 정부는 잘된 평가라고 역설하고 있지만 퇴근 시간 무렵 깜짝 공문을 보내는 꼼수에 신뢰감은 떨어졌다. 또 수박 겉핥기식의 짧은 면접심사와 대학들이 받아들이기 힘든 정성평가에 대학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한다. 세계를 놀라게 한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기틀이 '교육'위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대학의 미래가 곧 국가의 미래다.
 
이제라도 정부는 모든 대학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를 내놓아야 한다. 특히 평가를 공개적으로 진행해 부실 대학에는 과감하게 수술 칼을 들어야 한다.
 
대학에 혼란만 가중하는 정부가 과연 국가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을지 씁쓸하기만 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