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헌섭교육문화 팀장 |
쌀소득보전 직불금 부당 수령 불똥이 공직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부정 수령 의혹이 제기된 일부 충북도의원들이 강력 반발하고, 연말 정기 인사를 앞두고 직불금을 수령한 상당수 공무원들이 자칫 불이익이나 받지나 않을 까 전전긍긍하는 등 쌀 직불금 문제로 벌집 쑤셔놓은 듯 시끄럽다.
쌀 직불금은 목표 가격을 설정하고, 목표 가격과 당해 연도 수확기 전국 평균 쌀 값과의 차액의 85%를 직접 지불로 보전함으로써 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특히 쌀 협상 이후 시장 개방 폭이 확대돼 쌀값이 떨어질 경우 쌀 농가 소득을 적정 수준으로 안정시키기 위해 실제 경작 또는 경영하는 농업인 등에게 지급토록 했다.
그러나 농사를 짓는 농민이 아닌 땅 주인이 직불금을 받아 문제가 생긴 것이다. 지난 2006년 쌀 직불금을 수령한 충북지역 수령자 가운데 7.3%인 2만675명이 비료 구매나 벼 수매 실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부정 수령 의혹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발표에서 부정 수령 의혹이 제기된 도의원 4명이 사실 확인 없는 일방적 의혹 제기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얼마 전 기자회견을 갖고 정당하게 쌀 직불금을 수령했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제대로 된 확인하지 않고 발표해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후유증도 만만찮다. 어찌됐든 쌀 직불금은 국민들이 낸 세금으로 조성된 국가 재정에서 지급된 돈이다.
그 목적이 쌀 생산을 장려하고 농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인데 '눈먼 돈'으로 인식하고 부당하게 수령했다면 어찌됐든 도덕적·법률적으로 자유로울 수 없다. 나랏돈을 정당한 사유없이 빼내 간 것은 엄연한 '공금횡령'이다. 국가 재정이 부당하게 사용된 경우가 어디 어제 오늘의 이야기인가.
적당히 서류만 갖춰 일부 사람들에게 넘겨진 게 어디 쌀 직불금 하나였던가. 정부에서 하는 일이 이렇게 무책임하게 시행됐으니 쌀 직불금 문제도 정부가 우선 책임져야 한다. 그 다음에 쌀 직불금 부당 수령자를 철저히 가려내 모두 환수 조치해야 한다.
하지만 정당하게 농사를 지었다면 공직자라고 해서 직불금을 수령했다는 이유만으로 지탄 받아서는 안 된다.
부모로부터 농지를 물려받아 농사를 짓거나 퇴직 후 귀농을 염두에 두고 땅 매입해 농사짓는 공직자가 하나둘이겠는가. 고향이나 현 생활 근거지 인근에 땅을 구입해 놓고 주말을 이용해 농사짓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고, 공직자들도 마찬가지다. 직불금 수령 문제를 놓고 공직자라는 이유로 '마녀사냥식'으로 몰아 붙여서는 안 되는 이유다. 말 그대로 '투기'를 위해 논을 사 놓고 농사는 다른 사람에게 맡긴 채 쌀 직불금을 받은 일반인들은 문제가 확산돼도 관심조차 갖지 않는다.
환수 조치당하게 되면 그 때 '물어내면 그만'이라는 식이다. 현 제도의 틀 안에서 쌀 직불금 수령을 놓고 잘잘못은 명백하게 가려져야 하지만 공직자라고 사실과 다르게 매도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더욱 큰 문제는 이번 사건으로 인해 당장 내년부터 땅 소유주들의 직접 영농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직불금 부정 수령'이니 하는 구차한 소리를 듣느니 쌀이 제대로 생산되든 말든 직접 농사를 짓겠다고 나서는 사람들이 많아져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벌써 주변에서 내년 농사 계약을 포기하는 소리가 곳곳서 들린다. 통째로 논을 빌려주는 게 아니라 논 갈고, 모 내고, 벼 벨 때만 농민을 찾게 돼 결국 위탁 영농에서 머슴으로 전락하게 된다. 직불금 파문이 오히려 농들의 논만 빼앗고 있는 셈이다. 이는 결국 쌀 생산량 하락으로 이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히 마련돼야 하고, 이참에 허술한 제도도 뜯어고쳐야 함은 물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