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정위 '246석+비례대표 54석' 논의 불구
8일 본회의에 '253석+47석' 상정 가능성
정치권 "결국에는 기존 8개 유지될 것"
[서울=충청일보 이민기기자] 충북 국회의원 선거구 8석의 존속 여부가 '안갯속'이다.
최근 정의화 국회의장이 제시한 현행 의석수인 '총 의석수 300, 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안이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에서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이 안이 확정될 경우 청주시 선거구는 4개에서 3개로 축소되고, 보은·옥천·영동은 괴산 또는 자치구·시·군 분할 금지 원칙에 예외가 적용돼 청주시 미원면과 합쳐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10월 말 인구 기준으로 하한은 13만9570명, 상한은 27만9138명. 청주시는 인구 상한선을 초과하지 못하고, 반면 보은·옥천·영동은 하한선 미달이다.
선거구획정위는 지난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안을 토대로 획정안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자치 시·군·구 일부를 분할해 인근 선거구에 붙여 분구 대상에서 제외하는 수도권 선거구 최대 3곳을 선정하는 대목에서 여야 추천 위원들 간 이견차를 나타내 결론을 맺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획정안이 합의에 이르지 못함에 따라 임시국회 마지막날인 8일 열리는 본회의에 '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안의 상정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난항을 겪어야 하지만 결국 충북 선거구 8석은 존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 잠정 합의안인 '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이 대안으로 떠오를 것이란 분석에서다.
실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는 정 의장이 '지역구 246석' 가이드라인을 밝힌 뒤 나란히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역구 253석안은 인구수와 무관하게 앞서 통합시로 출범한 청주시와 창원시 등 2곳의 선거구를 보장해 주는 특례가 적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8월 말 기준, 인구수 13만7739명인 보은·옥천·영동이다. 253석으로 선거구 획정이 되더라도 하한 13만9570명에 미치지 못한다. 보은·옥천·영동이 독립 선거구를 유지하기 위해선 인구 하한선의 조정이 필수다.
정치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253석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방심해선 안 된다. 최종적으로 인구 상한과 하한이 어떻게 제시될지 모르고, 특히 청주시 등에 특례가 적용될지 여부는 끝까지 가봐야 알 수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