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역구 253석·비례 47석' 합의
대전·충남 각각 1석 늘어 전체 27석
충북 8석 유지… 세종도 1석 그대로
[서울=충청일보 이민기기자] 충청권이 증가한 의석수를 발판으로 4·13 20대 총선에서 정치력의 신장(伸張)을 이룰 전망이다.
여야는 23일 '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을 골자로 하는 선거구 획정안을 이번 총선에 적용키로 합의했다. 지역구 인구 상·하한선의 인구 기준은 14만 명 이상~28만 명 이하(기준일은 지난해 10월31일)다.
여야가 합의한 지역구 의원 정수에 따르면 충청권은 2석이 늘어나 총 27석이 된다.
충북은 현 8석을 유지한다. 대전 유성은 인구수 33만 명을 상회, 갑·을로 분구된다.
충남 천안 역시 분구 지역이다. 현 천안갑(30만3770명)과 천안을(30만763명) 2곳 모두 인구 상한선을 초과함에 따라 천안병이 증설된다.
아산도 인구수 29만 명을 넘겨 갑·을로 나뉜다.
반면 나란히 인구 하한선에 미치지 못하는 공주(11만1476명)와 부여·청양(10만3480명)은 합구 대상이다.
세종시는 현 1석을 그대로 유지한다.
영남과 함께 중앙 정치무대의 양대 축으로 꼽히는 호남권에서 2석이 줄어들어 28석으로 하향 조정되는 등 향후 충청권의 정치지형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남권은 2석이 감소, 65석.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청주 상당)은 이날 본보와 통화에서 "충청권의 위상과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며 "이제 충청권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넘어 '대망론'의 주역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됐다"고 평했다.
앞서 정 의원은 지난 2013년 11월 충청권보다 인구수가 적은 호남권의 의석수가 많다며 위헌 여부를 가려 달라는 헌법소원을 청구한 바 있다.
다만 충북의 보은·옥천·영동(남부3군)과 증평·진천·괴산·음성(중부4군)은 독립 선거구를 유지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남부3군은 지난해 10월말 기준, 13만7647명을 기록, 인구 하한에 미달한다.
남부3군에 인접한 괴산(3만7883명)이 합쳐지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즉, 경계 조정으로 남부4군과 중부3군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중부4군의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은 "생활권을 무시한 여야 합의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 의원은 "여야 합의안은 결과적으로 수도권 의원수를 늘리는 대신 농·어촌 의석수는 줄게 한다"며 "선거구획정위 단계와 국회 안전행정위 단계, 나아가 본회의장에서 농·어촌 의원들과 함께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여야는 오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안을 담은 선거법 개정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한편, 각 시·도 의원 정수는 서울 49석(+1), 부산 18석(변동 없음), 대구 12석(변동 없음), 인천 13석(+1), 광주 8석(변동 없음), 대전 7석(+1), 울산 6석(변동 없음), 경기 60석(+8), 강원 8석(-1), 충북 8석(변동 없음), 충남 11석(+1), 전북 10석(-1), 전남 10석(-1), 경북 13석(-2), 경남 16석(변동 없음), 제주 3석(변동 없음), 세종특별자치시 1석(변동 없음)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