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120억여원 들여 문화·예술 특성화 추진
"보행환경 개선 등 일방적 행정 강행" 반발
지역민 없는 공청회 진행도… 민원 봇물
[충청일보 김규철기자] 충북 청주시가 문화·예술 특성화를 통한 중앙동 상권 활성화사업을 시행하면서 해당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강행해 물의를 빚고 있다.
청주시는 지난 2014년부터 오는 2018년까지 국비 48억 1000만 원, 시비 70억 500만 원, 민자유치 1억 500만 원 등 총 119억 2000만 원을 들여 상당구 북문로 2가 일원에 문화·예술 특성화를 통한 중앙동 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청주시 구 도심인 중앙동의 도심기능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창조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옛 청주역사 옆에 문화예술허브센터를 조성하고, 차 없는 거리에 계절별 수종을 식재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차 없는 거리 환경개선, 청주공고정문-흥국생명 간 보행환경개선, 중앙아파트 외벽 도색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시는 청주공고-흥국생명 간 보행환경사업을 진행하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한쪽 면을 보행자도로로 만들고 도로 중간에 나무를 식재하기로 했다가 주민들로부터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시는 지난해 9월9일 1차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데 이어 올해 1월29일 2차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본보 취재결과 1차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44명 중 이 도로에 상가를 운영하고 있거나 건물주인 주민은 2명밖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2차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주민 21명 중에도 해당지역 주민은 단 1명밖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형식적인 주민설명회를 개최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그동안 도로 양편에 주차하고 있던 차량에 대한 주차장 확보 계획조차 세우지 않아 보행환경개선사업 추진에만 신경쓰고 주차환경개선에는 전혀 무관심한 행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을 뒤늦게 파악한 도로변 주민들은 시청을 방문해 항의의 뜻을 전했으며 30명이 서명한 민원을 제기했다.
시는 18일 중앙동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3차 주민공청회에서 한쪽면만 주차장으로 하고 다른 쪽은 보행로로 조성하는 개선안을 제시했으나 해당지역 주민들은 "도로 폭도 모르고 계획을 세웠느냐", "승용차만 다니게 하면 화재발생시 소방차는 어떻게 진입하느냐"며 강력히 반발했다.
한 주민은 "허브센터에 짓는다는 주차장을 지하2층~지하3층으로 만들어 충분한 주차공간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
또 다른 주민은 "차 없는 거리를 만든 후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나빠졌는데 이제 그마저도 막으려고 하느냐"며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대의견이 많다면 다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