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담 공무원 설문 결과
대부분 장기근속 희망 안해
"업무에 대한 보상 미흡"

[충청일보 박성진기자] 충북 각 지자체의 일자리창출 업무가 공무원들의 기피 부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대학교 윤창훈 교수가 최근 발표한 '지역 일자리 성과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방안'에 따르면 도내 일자리 전담 공무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일자리부서에서 장기근속을 희망하는 경우가 7점 척도에서 2.7점에 그쳤다.

평균 근속기간도 1.54년으로 일자리 전문화를 위해 필요한 최소 근무기간 2년2개월보다 크게 부족했다.

현재 도내에서 일자리 전담 공무원은 모두 47명으로, 충북도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옥천군 5명, 청주시 3명, 충주시 4명, 보은군 1명 등으로 조사됐다.

근무하고 있는 일자리 부서가 담당 공무원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냐는 문항의 척도점수는 3.4점에 불과했고, 일자리 업무의 성과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는 2.9점에 그쳤다.

일자리 업무에 대한 보상이 충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지자체 업무구조상 여건이 안됨'이 40.0%로 가장 많았고, '지자체장의 의지부족'이 26.7%, '일자리부서의 성과가 미흡해서'가 26.7%, '자치단체의 예산부족'이 6.7%등이었다. 일자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공무원의 능력에 대해서는 3.8점, 일자리 전담공무원의 일자리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수준은 3.4점에 불과했다.

윤 교수는 "일자리 업무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며 "일자리 전담자에 대한 성과보상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