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재정지원제한대학 해제 제외
학과 통·폐합 안해 악재로… 책임론 대두
김병기 총장·교무위원 등 전원 사퇴서 제출
[충청일보 김규철기자] 청주대가 교육부의 구조개혁이행과제 현장실사결과 해제조치대상에서 제외돼 충격에 빠졌다.
교육부는 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등급 이하를 받은 대학들을 대상으로 최근까지 구제개혁이행과제 현장실사를 벌이고 그 결과를 대상 대학에 통보했다.
이번 현장실사 결과 충북도내에서 건국대는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해제됐으며 극동대와 꽃동네대, 영동대, 충북도립대 등은 부분해제됐다.
그러나 청주대는 이번 현장실사에서 해제 또는 부분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지난해 재정지원대학에 지정된 대학 중 유일하게 계속해서 부실대학으로 지정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청주대가 부실대학에서 빠지지 못한 것은 장학금 등 다른 부분에 대한 투자에 열심을 다했지만 교육부에서 요구한 학과 통·폐합을 하지 않고 전체적인 정원 조정만 했다가 이 부분에 대한 평가에서 0점을 받아 최악의 사태를 맞은 것으로 보이고 있다.
청주대는 지난해 사회학과의 폐과를 추진했으나 이 학과 학생들은 물론 동문회, 교수회 등 구성원들의 반발에 부딪히자 학과 통·폐합을 없던 일로 하고 전체적인 정원을 조정하기로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이렇게 방향을 바꾼 것이 교육부 평가에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주대는 지난 2015학년도부터 3년 연속 재정지원 제한대학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으며 정부의 대학지원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장학금 지급과 학자금 대출에도 불이익을 받는 등 학교와 학생 모두에게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이처럼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자 오경근 청주대 총학생회장은 지난 26일 성명을 발표하고 책임자들의 사퇴를 요구했다.
오 회장은 "모든 구성원들이 뼈를 깎는 고통을 감수했음에도 현 체제는 교육부 컨설팅을 어떻게 준비해왔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재정지원제한대학 탈피를 못한 책임있는 자리에 있는 분들은 자리에 있던 분들은 자리에 연연하지 말고 책임을 지고 사퇴해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그동안 학교를 이 지경으로 몰고 간 어떤 세력들도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며 "다시 한번 학교의 혼란을 조장, 방조하거나 외부세력과 결탁해 학교를 구렁텅이로 몰고갈 경우 그에 대해서도 침묵하지 않겠다"고 경고하고 전 구성원들의 단결을 촉구했다.
김병기 총장 등 청주대 처장단, 대학원장 등 교무위원 16명 전원은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벗어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김 총장 등 교무위원들은 지난 26일 교육부 평가에서 재정지원제한대학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통보를 받은 뒤 곧바로 회의를 소집해 일괄 사퇴서를 법인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교무위원들은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종 지표를 끌어올리는 등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결과적으로 학과통폐합 미진 등으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모두 사퇴서를 제출했다.
김병기 총장은 "앞으로 학내 구성원 모두가 재정지원제한대학을 벗어나기 위해 학사구조개편과 정원조정 등 뼈를 깍는 개혁에 동참해 학교를 중부권 최고 대학으로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청주대의 한 관계자는 "교육부는 학과 통폐합을 하라고 했으나 청주대에서는 학과 통·폐합은 하지 않고 36개 과에서 66명의 정원을 줄였다"며 "교육부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청주대는 지난해 폐과됐던 사회학과를 부활시켰고 올해 또 다시 시끄러워질 것을 우려해 전체적으로 66명의 정원을 줄인 것인데 이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 총장이 사퇴하게 된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그 당시 사회학과 폐과 반대를 주장했던 사람들이 책임을 져야 하지만 이에 대해 책임지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제부터라도 누가 새로운 총장을 맡게 될지 모르지만 2주기 평가를 앞두고 이제는 구성원들끼리 단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