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학관·오창 2산단 체육공원 조성 등
정부 예산 미반영… "확보 위해 노력할 것"

[충청일보 장병갑기자]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청주 관련 국비 사업이 8602억 원으로 올해 7458억 원보다 1144억 원(15.3%)이 증가했다.
 
그러나 일부 현안사업에 정부 예산이 반영되지 않거나 요구액보다 예산이 줄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최근 국회에 제출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포함되지 않은 사업은 청주 해양과학관 건립과 청년창업사관학교 개설, 청주국제공항 주기장 확장 및 계류장 신설, 경부고속도로(남이~천안) 확장, 오창 제2산단 체육공원 조성 등이다.
 
해양과학관은 청원구 주중동 밀레니엄타운 내 1만5404㎡ 터에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해저지형탐사관, 첨단해양과학기술관, 해양과학역사관 등으로 꾸며진다.
 
시는 내년 기본설계비 24억 원을 요구했으나 반영되지 않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진행 중인 타당성 조사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란 시각이다.
 
시는 조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국회 해당 상임위에서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청주공항 계류장 신설 사업도 설계비 10억 원을 확보하지 못했다.
 
계류장은 항공기가 이륙 전·착륙 후 머무는 공간으로 항공수요 급증, 신규노선 증가 등에 따라 계류장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12월 발표한 수요 예측을 들어 예산 반영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수요 예측에서는 청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189만명, 올해 203만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지난해 이용객은 211만8492명을 기록했다.
 
올 8월 말 현재 이용객은 185만513명으로 목표인 25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이 같은 이용객 증가 추세 등을 근거로 조속한 사업 추진을 국토부 등에 요구하고 있다.
 
청년창업사관학교 개설 사업도 마찬가지다. 사업비 35억원이 정부 예산안에 포함되지 않았다.
 
사업 결정권을 쥔 중소기업청이 청주 설립에 난색을 보이기 때문이다.
 
같은 권역인 충남 천안에 이미 학교가 들어섰다는 것이 이유다.
 
권역별로 하나를 둔다는 원칙이지만 영남권에는 사관학교가 2개다.
 
시는 이 점을 들어 청주에도 허가를 요구하는 한편 전액 삭감된 예산을 부활시킬 방침이다. 시는 이들 사업 외에도 요구액보다 예산이 줄어든 사업의 증액에도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싱크홀' 예방을 위한 낡은 하수관 개량 사업과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조기 건설 등 12개 사업이다.
 
1012억원을 정부 예산안의 국회 심의 과정에서 증액한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국회에서 474억원의 국비를 추가로 확보했다.
 
시 관계자는 "정부 부처를 상대로 국비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 좋은 성과를 올렸던 만큼 국회 심의과정에서도 예산을 더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