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일보 사설] 충북도의 항공정비(MRO) 사업에 대한 충북도의회의 특별위원회가 논란 속에 가동됐다. 좌초 위기에 빠진 이 사업의 처음과 끝, 그 진행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본다는 게 도의회의 구상인데 가동 첫날부터 예상치 않은 사실이 밝혀졌다. 충북도가 선도기업으로 참여하길 원했던 아시아나항공이 왜 막판 사업에서 발을 뺐는지 짐작해볼 수 있는 사안이다.
MRO 사업 조성 부지가 있는 에어로폴리스 1지구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쓸 수 있었던 면적이 전체의 7%밖에 안 됐다는 것인데 자세한 건 특별위원회의 향후 활동에서 밝혀지겠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것만 놓고 보면 아시아나항공이 선뜻 들어올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전체 예정부지 15만2066㎡ 중 가용 면적이 2만1818㎡밖에 되지 않아 항공기에 필수적인 격납고를 필요량의 절반도 짓지 못한다니 들어올 여건을 만들어주지 않고 충북도가 무작정 참여만을 기다린 것 아니냐는 따가운 지적을 들을만 하다. 특별위원회 위원들조차 이런 답변을 듣고 혀를 찼다고 한다.
결국, 충북도가 지역을 먹여 살릴 수 있는 대형사업이라며 도정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했던 게 기본 여건도 갖추지 않은 채 기업 입주만을 기다리는 안일함과 준비 부족으로 시간을 보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고, 도민들에게 MRO 사업의 실상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과대포장 했다는 질책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이런 사실은 사업 난항을 공식적으로 밝힌 기자회견장에서 이시종 지사가 말한 "MRO 사업이 당장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니다. 청주국제공항이 협소한 면적, 고도제한으로 인한 이용 가능 면적의 제한성, 철도 경계로 인한 확장성 부족 등으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대규모 MRO 산업을 유치하기에는 입지 여건에 한계가 있다고 평가된다"는 것과 맞물린다.
왜 진작 이런 어려움, 난제, 한계, 과제 등을 있는 그대로 도민들에게 소상히 알리고, 그런데도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최대한 사업 유치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더라면 추진 과정에서의 거듭된 '헛발질'과 뒤늦게 기업으로부터 외면당하면서 느끼는 좌절감을 덜 수 있었을 것이다. 도민도 장밋빛 청사진만 믿었던 허탈감에서 벗어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여전히 특별위원회 구성을 놓고 여야가 엇박자 행보를 하고 있다. 강행하는 여당에 맞서 야당이 절차상 문제와 필요성 유무를 내세우며 날을 세우고 있다. 그렇지만 특별위원회는 가동돼야 한다. 지난날의 잘못만 들춰내는 게 아닌 앞으로의 효율적인 도정 추진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짚을 건 짚어야 한다. 상임위원회에서 충분히 거를 수 있음에도 특별위원회를 운영하는 건 정치 공세라는 반발이 있지만, 특별위원회를 구성할 중대 사안임에도 이를 막는 것 역시 정치 공세로 비칠 수 있다.
물론 단독으로 가동하다시피 하는 여당도 파헤치는 게 능사는 아니다. 이번 특별위원회가 사업의 한 축이었던 정부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아시아나항공 측을 출석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런 현실적 난제를 딛고 선 운영 결과물을 내놓아야 한다. 그 결과물은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