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 주택용 23% 수준서 2배 이상 인상
서민들 "겨울철 난방비 폭탄 걱정된다"
한전 "여전히 저렴… 인하 가능성 희박"

[충청일보 송근섭기자] 올 여름 '전기료 누진세 폭탄'을 걱정하던 서민들이 이제는 심야전기 요금에도 떨고 있다. 주택용의 23% 수준에 불과하던 심야전기 요금이 크게 인상된 데다, 겨울철 '난방요금 폭탄'을 맞는 사례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25일 한국전력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심야전기 이용가구는 86만6259호다. 충북에서는 올해 7월 기준 심야전기 이용가구가 약 9만2000호에 달한다. 주택·일반용·심야전기 고객 100만4000호의 10%에 가까운 수치다.

심야전기는 오후 11시~다음날 오전 9시까지 전기를 공급받아 냉·난방에 이용하는 것으로 특정시간대에 집중되는 전력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1985년 도입됐다.

시행 초기에는 요금이 주택용보다 크게 저렴하고, 정부 차원에서 설치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등 혜택이 많아 2000년대 초반까지 다가구·단독주택 등을 중심으로 보급률이 크게 늘었다. 국내 심야전기 이용가구는 2002년 62만7343호에서 지난해 86만6259호로 약 40% 가까이 증가했다. 현재는 심야전기 설치 기준이 저소득층 등 일부로 제한돼 그야말로 '귀하신 몸'이 됐다.

그러나 기존 설치 가구 중 일부는 심야전기 요금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예전보다 요금이 크게 오른 탓에 일반 주택용과 큰 차이가 없고, 겨울철에는 난방요금 폭탄을 맞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심야전기 요금(11월~2월 기준)은 2004년 ㎾h당 29.8원에서 2013년 76.8원까지 2배 이상 올랐다. 주택용은 누진제 1단계 기준 ㎾h당 60.7원이고, 100㎾h 이상 사용 시에는 125.9원식의 누진제 적용을 받는다. 누진제 2단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심야전기 요금은 주택용의 23% 수준에서 10년 만에 약 61%까지 치솟은 셈이다.

여기에 집안 전체를 난방하지 않아도 축열조를 데워야 하는 심야전력 난방시설의 특성상 겨울철 요금은 여름보다 5~6배 이상 많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한전 통계에도 지난해 7월 심야전력 판매수입은 270억4900여 만원이지만 1월에는 1863억6663만원으로 7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경우 심야전기 난방요금으로 10만원 이상, 농촌지역 전원주택은 30만원 이상 부과된 사례도 적지 않다. 서민들에게는 여름철 '누진제 폭탄'만큼이나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에서는 심야전기 요금 절약 방법을 문의하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서민들 사이에서 심야전기 요금에 대한 불만·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한전에서는 '모든 전기요금은 사용한 만큼 부과되는 것'이라는 원론적 답변만 되풀이 하고 있다.

한전 충북본부 관계자는 "심야전기 요금이 최근 10년 동안 많이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일반 주택용에 비해서는 저렴한 편이고, 간혹 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오는 경우는 그만큼 전기를 사용했기 때문"이라며 "심야전기는 원가회수율이 낮아 손실액도 상당하기 때문에 요금체계 개편에서 요금 인하 등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