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일보 사설] 충남도의회가 지역 현안인 석탄화력발전소 미세먼지와 백제문화유적 관광 활성화, 아직 생활여건이 미흡한 내포문화권 개발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가동한다. 모두 지역에서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주요 사안들로 그만큼 도민들의 관심 역시 큰 것들이다.
석탄화력발전소 배출 등 미세먼지 저감 특별위원회는 석탄발전소의 오염 물질로 인한 주민 피해 현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는 수도권과 지방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에너지 관련 정책을 짚어보고 정부에 정책적 변화를 촉구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지역에서 끊임없이 요구하는 화력발전소 신·증설 억제와 오래된 화력발전소의 가동 중단 촉구도 빠지지 않는다. 당진 태안 보령 서천 등 충남 서해안에는 전국 석탄화력발전소(53기)의 절반가량(26기)이 몰려있어 주민들이 가동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실정이다.
백제문화유적 세계유산 확장 등재 및 문화관광 활성화 특별위원회는 지역 문화유적의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등재와 관광 활성화를 위한 것인데 지난해 빠진 데 대한 보완 활동이다. 수덕사 대웅전, 마곡사 대웅전, 서산마애삼존불 등을 등재 가능한 유적으로 보고 있다.
내포문화권 발전 특별위원회는 전반기에 이어 후반기에도 활동하게 된다. 도청·교육청 등 수급기관이 이전해왔음에도 정주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도청 소재지라고 하기엔 남사스러운 내포신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게 주된 과제다. 충남도의회는 전반기에도 4개 특별위원회를 가동했다.
특별위원회뿐만 아니라 연구모임 역시 활발하다. 내포신도시의 축산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무허가 축사 적법화 지원 모임이 활동한다. 홍성의 돼지 축산은 그 규모에 있어 전국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데 난립한 무허가 축사를 정비·지원함으로써 민원도 줄이고 축산을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양성화시키는 방안을 찾아보겠다는 것이다. 충남도의회에는 이것 말고 정책 고민과 지원책을 궁리하는 3개 연구모임이 활동 중이다.
이런 충남도의회와 달리 바로 옆 충북도의회는 사정이 다르다. 충북도의회에 현재 가동되고 있는 특별위원회는 문장대온천개발저지를 위한 특별위원회와 항공정비(MRO)단지 개발 점검을 위한 특별위원회 두 개뿐이다. 그나마 전반기 활동까지 포함된 것이고 연구모임은 아예 없다. 충남도의회가 집행부에 대한 비판·견제와 함께 의회 차원의 해법 제시, 대안 마련을 위해 특별위원회와 연구모임을 활발히 가동하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물론 충남과 충북도의회를 특별위원회와 연구모임 숫자만으로 비교해 누가 일을 잘하고, 못하느냐를 따지는 건 다소 무리가 있다. 충남은 기초자치단체만 해도 15개에 주민등록 인구가 208만 명(이하 올 8월 말 기준)을 넘었고, 충북은 11개에 158만 명이니 단순 비교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지역 현안 해결과 주민 이익을 위해, 비판과 견제를 넘어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충남도의회를 보면 자연스레 충북도의회가 겹쳐지는 건 어쩔 수 없다. MRO특별위원회 하나를 꾸려가는데도 온갖 불협화음을 빚는 걸 보면 더욱 그렇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