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332명 대상 조사 결과 42% "응모할 것"
35% "안 할것"·23% "모르겠다" 등 부정적
"가산점 부여 규정·필요직위 수 확대돼야"

[천안=충청일보 박상수기자] 충남 천안시청 공무원들은 5∼7급 경력직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직위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실행 전이어서 가산점에 부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고, 필요직위 수가 적을 경우 사실상 내정설 등으로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직위제는 5∼7급 경력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행정의 전문성과 연속성으로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최소한 3년 이상 필수보직 기간을 설정해 장기근무를 유도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해 승진과 전보 시 혜택을 줄 수 있는 근무형태다.
 
감사와 회계분야 등 전문 직무역량 직위와 기업유치, 국·도비확보 등 업무의 연속성과 관계성을 지닌 직위, 정책개발과 환경, 안전, 등 전략적 인재육성이 필요한 직위 등의 유형을 시행할 수 있다.
 
시는 전문직위제 운영에 대한 직원들의 의견을 묻기 위해 지난 6월7일부터 10일까지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의 42%만이 '응모하겠다'고 했고, 35%는 '응모하지 않겠다', 23%는 '모르겠다'고 답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시각이 더 큰 것은 3년 이상 근무를 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연차별 가산점 부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아직은 없어 불신의 성격이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여기에 서울시는 전체 팀의 20%, 중앙부처는 15% 정도 전문직위제를 운영하는 것과 달리 천안시는 읍·면을 제외한 약 300여개의 팀별 직위 가운데 10개 정도만 필요직위로 운영한다는 생각이어서 결국 내정에 의해 임명돼 신청할 경우 들러리만 서는 것이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가 생각하고 있는 상위 10개 필요직위에 7급 이하 하위직원들은 짧은 공직기간으로 업무 경험자가 부족하고, 2년 정도 근무하면 순환보직이 가능한데 굳이 3년 이상 근무 후 차기 인사에서 불이익을 당할 경우 세월만 허송했다는 우려도 부정적인 답변을 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김영수 시의원(바 선거구·더불어민주당)은 "전문직위제 시행 전에 연도별 가산점을 주는 규정 등 제도적 장치 확보가 필요하다"며 "현재 300여개 팀 가운데 최소한 10% 정도 이상을 필요직위로 정해 지원 폭을 넓혀 지원 희망자가 내정설 등으로 불신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