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서대전역 활성화 집중해서 여력 없어"
충남은 "타당성 조사 중이라 찬반은 시기상조"
일각선 "안희정 '친노' 이해찬 반대 부담될 듯"

[충청일보 이정규기자] KTX세종역 신설 논란에 충청권 지방자치단체 중 대전시와 충남도가 한 발 물러서 관망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그 배경에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2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KTX세종역 신설을 놓고 세종시 주변 지역의 각계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대전시와 충남도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다.

대전시는 그 이유에 대해 '서대전역 때문'이라고 전했다.

오송과 공주 노선이 새로 놓이면서 기존 노선에 자리한 서대전역의 하루 정차 횟수가 62회에서 주중 16회, 주말 18회로 대폭 감소한 데 따른 대책 마련이 급하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지난해부터 전북 익산에서 멈춰버린 노선의 연장을 정부에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다.

익산에서 내려 환승하도록 돼 있는 노선을 최소한 호남까지 연장시켜 서대전역이 활성화되길 바라고 있다.

대전시 임재진 첨단교통과장은 "대전시는 서대전역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세종역 문제까지 이렇다 저렇다 할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세종역이 신설되면서 가뜩이나 줄어든 서대전역의 운행 횟수가 더 감소한다면 이는 절대 반대한다"고 했다.

충남도는 공주역 운행 횟수가 줄어 이용자가 더 감소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공주시와 공주시의회의 반대에도 세종역에 대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공주로서는 여간 서운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허승욱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아직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사안을 두고 찬·반을 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상당히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허 부지사는 "공주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BRT 신설, 국도지선 연결, 연계교통망 구축 등이 광역계획에 반영되도록 제안하는 중"이라면서도 "찬·반은 신설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논의가 적절치 않다"고 했다.

허 부지사는 이해찬 의원과 안희정 도지사의 관계 때문이냐는 질문엔 (예상된 답변이지만) "안 지사와 이 의원의 정치적 관계는 절대 영향이 없다"고 선을 분명히 그었다.

하지만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 의원은 친노 좌장임을 자타가 공인하고 안 지사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라는 공통 분모가 있다.

때문에 대권 잠룡으로 거론되고 있는 안 지사 입장에서 이 의원의 정치적 노력에 즉각 반대 깃발을 올리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렇다고 충남도의회와 공주시, 공주시의회가 적극 반대하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유보'만을 고집할 명분은 없어, 충남도로서는 내심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 밝힌 대전시와 충남도 입장을 정리하면 12월 타당성 용역 결과 발표 이후 표명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만일 편익비용(BC)이 1 이상 나와 신설 계획이 수립될 경우 대전시는 운행 계획을 본 뒤, 충남도는 곧바로 반대 운동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