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군, 2012년 사업 반대하던 문광면에
군비 지원·국책사업 우선 배정 등 약속
"혈세로 특정 지역 퍼주기" 반발 예상
[괴산=충청일보 곽승영기자] 충북 괴산군이 추진 중인 국립호국원 유치 협약과 관련해 문광면을 제외한 다른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괴산군과 호국원 반대 문광면 대책위원회는 지난 2012년 국립호국원 유치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 내용에는 △편의시설은 문광면민 단체에게 50년동안 운영권을 준다 △매년 20억원씩 10년간 문광면에 지원한다 △군수관사 및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의 이전시 문광면으로 우선한다 △괴산군에서 국책사업을 유치할 경우 문광면에 우선적으로 배정한다 등 10여가지가 포함됐다.
이같은 협약에 대해 문광면이 아닌 다른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주민 A씨는 "국립호국원 유치로 지역경제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건 알고 있지만 협약서 내용에 의하면 주민들의 반대에 퍼주기식의 행정, 군비를 개인 돈처럼 쓰는 행정은 비난 받아야하며 돈이 어디에 쓰여지고 있으며, 수백억이나 되는 군민의 혈세를 함부로 사용해도 돼냐"고 비난했다.
그는 또 "괴산군은 사업추진에 있어 주민이 반대하면 늘 군비 퍼주기식으로 입막음을 해왔다"며 "혈세를 제대로된곳에 쓰여지고 있는지 철저한 관리·감독해야한다"고 덧붙혔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앞으로 군이 어떤 사업을 하더라도 주민들이 반대할 경우 또 군비를 들여 주민 입막음용으로 써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될것이다"며 "괴산군이 돈이면 다 해결될거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꼬집었다.
군관계자는 "괴산군이 국립호국원 유치를 위해 수년전부터 노력해온 결실이다"며 "국립호국원이 유치됨에 따라 연간 수만명이 괴산군을 찾을것이고 이로인해 주민소득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사업 발표당시인 지난 2012년 문광면 주민들은 '공동묘지 좋아하는 이상한 괴산군', '청정지역 외치더니 공동묘지 웬말이냐' 등 현수막을 걸고 반대투쟁을 벌였다.
하지만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반대에서 찬성으로 돌아서 배경에 각종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