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청, 교사 등 883명 대상 진행
학부모·학생 대부분 잘 모르지만 "찬성"
객관성 없는 항목도 포함… 신뢰도 의문

[충청일보 김규철기자] 충북도교육청이 공립 대안학교 설립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와 학부모 대부분은 공립 대안학교 설립을 찬성하고 있지만 학부모와 학생들은 대안학교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문조사의 신뢰도에 의문을 낳고 있다.
 
충북도교육청은 지난 달 20일부터 26일까지 7일간 교사와 중3·고1 학생, 학부모 등 총 8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이번 설문에서는 대안학교에 대한 인식, 공립 대안학교 설립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공립 대안학교 설립 유형 및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번 설문조사결과 대안학교에 대해 '약간 안다' 또는 '매우 잘 안다'고 응답한 교사는 61.6%였지만 학부모는 41.5%, 학생은 19.5%에 불과해 학생과 학부모는 대안학교 자체를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안학교를 어떤 학교로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교사의 66.1%와 학부모의 72.5%, 학생 20.6%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과정 운영학교'라고 응답했다. 이는 응답자 그룹 별로 가장 많은 응답자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학업중단 학생을 위한 학교',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학교', '생태 및 환경교육 중심학교', '다문화가정 및 탈북학생을 위한 학교'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응답 중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라는 응답이 나머지 응답 대부분을 포함하는 것이어서 응답 자료 자체가 잘못된 것으로 파악됐다.
 
더욱이 이렇게 응답자 대부분이 대안학교에 대한 정의조차 정확히 내리지 못하고 있으면서 공립 대안학교 설립에 대한 찬반의견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교사의 88.7%, 학부모의 85.5%, 학생의 51% 등이 '찬성'의견을 보여 앞뒤가 맞지 않는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립 대안학교의 경우 현행법상 정규학교로 인정되지 않아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도 교육청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공립 대안학교 설립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 모습을 보여 편파적인 행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공립 대안학교 설립은 김병우 교육감의 공약 중 하나였다"며 "위기 학생 기숙형 교육기관인 청명학생교육원을 학교로 변경하기로 했을 때 고교로 할 것인가, 중학교로 할 것인가를 놓고 고심한 결과 은여울중학교로 변경해 개교하기로 함에 따라 공립 대안학교 설립을 검토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