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청, 반대 입장 고수
"연구학교 지정 없을 것"
[충청일보 장병갑기자]국정 역사교과서(이하 국정교과서) 최종본이 공개되면서 국정교과서의 학교 현장 적용이 임박했다.
그러나 야권을 중심으로 반발 여론이 여전하고 김병우 충북도교육감 등 진보교육감들이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을 하지 않겠다고 밝혀왔던 만큼 국정교과서 채택갈등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영 차관 주재로 브리핑을 갖고 국정교과서 최종본과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집필기준을 발표했다
국정교과서는 2017학년도에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적용되고 2018학년도에 검정교과서와 혼용된다.
교육부가 입법예고, 연구학교 지정 절차 추진, 최종본 공개 등 국정교과서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지만 진보교육감들을 비롯해 야권 의원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충북도교육청은 "부당한 연구학교 추진을 중단하고 교육과정을 수정고시하라"고 촉구했다.
충북도교육청은 이날 성명을 내고 "다수의 국민과 역사연구자 및 역사교사들이 우려하고 반대하던 교과서를 기어코 강행하는 교육부의 행태는 매우 유감스럽고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은 그동안 "국정역사교과서는 단일한 시각과 편향된 역사를 가르친다는 점에서 반교육적이고 반시대적인 정책"이라며 "충북교육청은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않을 계획"이라고 밝혀왔다.
김 교육감은 "국정 역사교과서를 주문했던 50개 고등학교는 취소를 완료했고 중학교 1학년도 교육과정을 변경해 2017년에는 국정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는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충북도교육청이 도내 83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국정교과서 신청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가운데 이날까지 신청한 학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월1일 최종적으로 신청학교 유무가 확인되지만 교육부가 국립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학교 지정을 수용하라고 압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도내 한 국립고등학교는 국정교과서 신청을 취소했지만 오는 2일 열릴 예정인 학교운영위원회 회의 결과에 따라 국정교과서 채택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