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익 전 충북단재교육연수원

[오병익 전 충북단재교육연수원] 2016 '진로교육 현황조사'에 따르면 어린이?청소년 희망직업 1위가 '선생님'이라지만 여전히 교육자 수난시대다. 지난해, 충북교육은 몇몇 학교장의 탄핵(?)으로 '잠자코 있으면 중간 갈 걸 왜 긁어 부스럼 만드냐'는 논리까지 번져 안쓰러움이 더했다. 그러나 괴산지역 추산초의 경우, 학생·학부모·지역사회 신뢰를 발품으로 챙겨 3월1일자 자율 통·폐합을 일궈냈다.
학교도 경쟁시대여서 내적으로 견실할 때 학생 숫자는 늘어난다. 초임교장 2년 만에 학생 수를 두 배로 늘린 청주 북이초의 '행복 공부'도 교장실만 지키고 앉아 있었다면 가당찮은 대표적인 수범사례다. '책상물림(책으로만 세상을 알려는 학습)'에 익숙해 온 가르침까지 울분의 축으로 공격받아 마땅하다. 여전히 변화와 혁신은 부담스러운 학교장 과제다.
교육과정이 거듭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게 있다면 '가르침과 배움'의 요구다. 그것을 잇는 최고 교량은 학교장이다. 필자는 평교사 시절, 관리자 경영 스타일에 불만스러웠던 기억을 갖고 있다. 학교 경영 전문인으로서 역량이 모호하면 최고 자원인 동료 교직원부터 먹히질 않는다. 섣부른 아집보다 구성원 목소리와 포개야 한껏 빛을 발한다는 건 당연한 이치다. 학교장은 관리뿐만 아니라 평생 책임의 경영자다. 참된 스승도 아이들과 학부모가 먼저 알아본다.
행정감사 자료 중 단골메뉴, '학교장 출장' 문제다. 출장 목적이나 내용은 뒷전으로 한 채 무조건 횟수만 따져 부정적 시선을 부추기니 찜찜하다. 특히 교원단체, 협의회, 연구회, 위원회, 체육종목 육성 등 업무 중첩 학교장의 출장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엄밀히 말하면 의무다. 관내 4시간 출장의 경우 여비 일 만원, 점심 값은 고사하고 품격과 너무 걸맞지 않아 '출장비 없음' 처리가 낫겠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여비의 적정수준에 대해 심층적으로 짚어 준 감사기관 또는 피감기관은 아직 눈 씻고 볼래도 어렵다.
감사에 지레 겁먹어 행감자료 공문서를 허위로 작성했다면 아예 출장을 거부한 직무유기보다 무거운 징계대상이다. 비록 학교장 끗발이야 초라하지만 청렴의 최후 보루요 청지기의 대명사 아닌가? 축소·삭제 등 갖가지 의문으로 다시 불거진 도의회 자료요구에 대해 유·초·중교장협의회장단은 단호하게 책임 있는 사실을 적시(摘示)해야 한다. 어물쩍 넘어갔다가는 사사건건 학교장을 편향된 시각으로 몰아붙일 논란거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