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교원대서 1차 공청회… 대상 등 구체화
'지역 반영한 방식' 도입 여부 쟁점 부각 전망

[충청일보 장병갑기자] 교육부는 현재 학령인구감소 시대를 대비해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추진하고 있다. 전국 대학들을 대상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실시한 뒤 등급을 구분, 각 등급별로 정원을 감축하는 것이다.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간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로 이미 완료됐으며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간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간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다.
 
교육부는 3주기에 걸친 대학구조개혁평가를 통해 2023학년도까지 모두 16만 명을 감축할 방침이다.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는 A등급 자율감축, B등급 4%(4년제 대학)·3%(전문대학), C등급 7%(4년제 대학)·5%(전문대학), D등급 10%(4년제 대학)·7%(전문대학), E등급 15%(4년제 대학)·10%(전문대학) 등을 감축해야 한다.
 
전국 모든 대학들이 전적으로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해 운영하는 구조에서 학생수 감축은 곧 대학의 존립과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2주기대학구조개혁평가를 앞두고 대학들이 벌써부터 치열한 눈치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1차 공청회가  3일 청주 한국교원대에서 열린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앞서 3차례 권역별 토론회에서 공개된 2주기 평가 기본계획안을 바탕으로 대학별 명암이 엇갈리는 평가대상과 평가방식, 적용방안 등이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방 대학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지역을 반영한 평가방식' 도입이 이날 공청회에서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지난 1주기 구조개혁 결과 감축된 정원중 72.9%가 지방 대학에 집중되면서 '지방대 죽이기'란 혹평이 지배적이었다.
 
구체적으로 평가 상위권에 들어 정원감축을 강제하지 않는 '자율개선대학'(2단계 평가 면제)에 수도권과 지방 비율을 정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전체 평가대상중 50~60% 내외인 자율개선대학중 지방 대학을 일정 비율 이상 배정하는 방식이다.
 
평가지표 등이 확정된 최종 편람은 6월쯤 확정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