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공무원노조-여성단체 대립 확산 조짐
노조 "600여명 女 공무원·인사시스템 폄훼"
도청 위원회·자문단 활동 등 배제 요청키로

[충청일보 이정규기자] 속보=충북도 변혜정 여성정책관의 '공직사회는 오빠라고 부르면 만사형통' 발언 논란이 충북도 노동조합과 일부 여성단체 간 대립으로 확산될 조짐이다.(30일자 5면)
 
충북도 공무원노동조합(이하 공무원 노조)이 발끈하고 나서며 충북도의 각종 위원회와 자문단에서 이들 단체 소속 인사들을 배제시킬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노조는 30일 성명을 통해 "시민사회단체의 '참혹한 도청 여성공무원  비하 발언'을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이들은 여성정책관 내정 철회 요구를 하며 여성정책관 말을 인용, '오빠라고 부르면 만사가 형통'이라고 해 '오빠문화'가 마치 도청 공직 사회에 만연해 있는 것처럼 비꼬았다"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공무원 노조는 "이는 600여 명의 도청 여성 공무원에게 불쾌감을 넘어 치욕스러움을 안겨주는 것"이라며 "더욱이 묵묵히 주어진 공직 수행을 통해 공정한 직무 평가 속에 보직 이동과 승진이 이뤄지는 일반적 도청 인사 시스템을 간과한 채, 여성공무원들이 남자 상사에게 아부나 해 부당한 방법으로 평가 받는 '수준 이하의 여성상'으로 표현했다"고 유감을 나타냈다.

공무원 노조는 "내용의 사실 관계를 떠나, 그렇다면 지금까지 충북도 여성발전센터 소장과 여성정책관을 거친 많은 '개방형 민간인'이 양성평등의 걸림돌로 지적된 '오빠문화' 개혁에 대해 쌓은 업적과 실적은 무엇이며, 어디에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균형적 시각을 갖고 여성 권익 신장을 최상의 목적으로 하는 지역 여성시민단체로서, 단지 도청 여성 공무원이라는 이유 만으로 '오빠문화의 중심에 있다'고 말하는 것은 편협한 인식"이라고 꼬집었다.
 
공무원 노조는 또 "이런 행태는 600여 여성 공무원을 완전히 무시한 오만의 극치일 뿐"이라고 맹비난한 뒤 "이것이야말로 도민이 바라는 성숙한 시민사회단체의 모습이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자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처럼 충북도청 여성 공무원과 인사 시스템 자체를 폄훼했다고 보고 있는 충북도 공무원 노조측은  이번 일과 관련된 여성 단체 소속 인사들의 현재 충북도 연관 활동을 전면 거부키로 결정했다.
 
공무원 노조는 충북도 각 부서의 100개가 넘는 위원회와 자문단 활동하고 있는 단체 소속 인사들을 배제시킬 것을 이시종 도지사에게 정식 요청할 방침이다.
 
충북도 노동조합 김민회 위원장은 "먼저, 충북도를 비하시키는 단체들의 사족(蛇足)없는 해명과 사과를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비뚤어진 여성관과 공직관을 갖고 있는 극이기적(極利己的)인 해당 단체에 대해 개방형 임용은 물론, 각종 위원회와 자문단 등 자격과 명분 없는 어떠한 도정 참여도 필요치 않다고 보며, 이에 대한 철저한 배제를 도지사에게 요구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해당 여성단체의 한 관계자는 "노조의 성명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공식적으로 할 말이 없다"며 "단체들의 대표 채널을 맡고 있는 정 모 대표와 통화하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 대표는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받지 않았다.
 
이들 여성단체 관계자들은 31일 오후 이 지사와 면담을 요청한 상태다.
 
한편 충북 시민단체연대회의는 지난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충북도의 공무원 여성정책관 발탁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하며 "변 여성정책관이 여성계 만남 자리와 토론회, 학회 등 다양한 자리에서 공무원의 경직성과 권위적 태도를 양성평등의 걸림돌로 지적하며, 소위 '오빠라고 부르면 만사가 형통'이라는 '오빠문화'가 공직사회에 만연해 있음을 공공연하게 언급했다"고 지적해 이번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