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충북지역 청년들의 지역 이탈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더욱이 전체 인구는 늘고 있지만 청년 인구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충북지역 인구는 2006년 149만5000여명에서 지난해 159만2000여명으로 6.5% 증가했다.
 
그러나 연령대로 살펴보면 39세 이하 인구의 감소세가 확연하다.생산·소비 등 활발한 경제활동을 해야 할 20∼39세 청년 인구가 46만4000여명에서 41만1000여명으로 11.4%나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청년층의 인구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지역사회의 발전 동력이 약화된다는 점에서 간과할 일이 아니다.
 
20∼39세 청년층은 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해야 할 나이다.
 
일할 청년들이 줄어들면 그만큼 지역경제활동에 미치는 파장이 크고, 이는 지역경제의 침체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경제성장을 주도하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전망이 이를 뒷받침한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충북은 인구성장률이 2015년 0.69%에서 점차 감소하다가 2040년부터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접어든다.

충북의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015년 기준 114만명에서 2045년 89만명으로 21.9%나 감소할 전망이다.핵심 경제활동 인구로 꼽히는 25∼49세로 범위를 좁히면 58만명에서 40만명으로 31.4%나 감소한다.문제는 이같은 청년들의 지역 이탈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상징적인 대책만을 내놓고 있는 자치단체들이다.
 
청년들의 이탈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취업이다.
 
마땅한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이다.
 
충북도내 자치단체들이 청년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대책들이 청년들의 항구적 일자리를 충족하는 데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일시적 고용창출 효과 상승이나 행정적 관점의 성과적 측면에 치중하기 때문에,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데 한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층의 생생한 목소리와 애로사항 등을 정책에 반영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이를 방증한다.
 
아울러 이같은 청년층의 인구 감소를 그저 출산율 저하 등 전반적인 인구 감소의 여파라고 인식하는 안일한 행정 인식도 청년층의 지역이탈을 방관하는 요인이다.
 
청년층 인구 감소 대책에 대해 충북지역 지자체 관계자들은 출산율 제고를 위해 출산장려금 지원 등 청년지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놓는 것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단순히 수치상 많은 기업유치에 성공했다고 자찬하는 지자체들이 많지만, 정작 이를 통해 청년들의 일자리를 얼마나 만들었는지, 이를 통해 청년층의 지역 이탈 해소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분석하고 통계치를 내놓는 지자체들은 없다.
 
따라서 안일한 행정적 관점에서 벗어나 청년층의 지역이탈 현상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부합하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청년취업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