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장중식 논설위원]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시장이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지역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은 미분양물량이 쌓여가고 있다.

실제 KB부동산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지방 집값(-0.31%)은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되며 20개월 연속 추락했다. 하락폭은 2008년 12월 이후 월간 기준 최대치다. 8월 들어서도 하락세는 거듭되고 있다. 조선업과 자동차산업이 밀집한 울산 일부 지역과 GM자동차 공장 폐쇄로 분위기가 침체된 전북 군산지역의 하락세가 뚜렷했다.

이 같은 추세에도 불구, 10월과 11월 지방에 공급되는 아파트 물량은 약 4만7500여 가구에 달한다. 입주예정물량 역시 3만7000여 가구에 이른다. 국토부가 발표한 6월 말 기준 지방의 미분양 주택은 5만2542가구다. 6개월 이내 계약을 완료한 초기분양률이 저조한 분위기 속에서 미분양이 적체될 경우 하락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할 것은 따로 있다. 그동안 서울과 지방으로 양분화된 시각으로만 부동산 시장을 분석하기엔 무리수라는 지적이다. 서울과 수도권도 강북과 강남, 그리고 재개발지역과 신도시를 비교하는 자료가 현실적이다.

지방 또한 마찬가지다. 부동산 광풍이 불었던 세종시도 BRT노선을 중심으로 프리미엄만 최고 2~3억을 웃도는 아파트가 있는 가하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공실이 산더미처럼 쌓여가는 지역도 있다. '일단 잡고나면 남는 장사(프리미엄)'이라는 식의 투자가 투기과열지구와 대출규제라는 복병을 만나면서 발목을 잡힌 꼴이다.
 
대전의 사정은 어떤가. 분양공고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아온 갑천 3블럭 트리풀시티가 최고 537.52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 공급시장에는 청약자가 대전시민의 10%에 이르는 15만명이 몰려 전국적인 주목을 끌었다. 반면, 날로 늘어만 가는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 쉴새없이 쏟아지는 부동산 뉴스는 여전히 수도권과 지방이라는 이분법에 머물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들썩일 때마다 특단의 정부대책이 필요하다는 주문까지 섞어가며 말이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중심은 딱 한가지면 된다. 실수요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규제가 되었든, 완화가 되었든 중요치 않다. 그 같은 과실을 누가 따 먹는가에 있다. 국민들의 혈세로 마련된 나랏돈이 부동산 차익을 노리는 건설사나 투기세력에 흘러들어가는 일은 막아야 한다. 그 보다 먼저, 부동산 시장을 보다 세분화해서 명암을 살피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