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0.5% 빅스텝… "환율 상승 압력 대응"
한국은행이 12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7월에 이은 두 번째 빅스텝이다. 물가 상승을 억누르기 위한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기준금리는 10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한은은 12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2.5%인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린 연 3%로 상향 조정했다. 기준금리가 3%대로 올라선 건 2012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상승으로 인해 물가의 추가 상승압력과 외환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는 만큼 정책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국내외 경제상황은 고물가 시대가 당분간 계속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최근 세계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미 연준의 긴축 기조 강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졌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달러화 강세 기조 강화로 주요국의 통화 가치가 절하된 가운데 장기시장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주가가 하락했고 일부 국가에서는 금융불안이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국제원자재가격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향방,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미 달러화 움직임,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국내경제는 소비가 회복 흐름을 이어갔지만 수출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성장세가 둔화됐다. 앞으로도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경제성장률이 최근 전망치인 2.1%를 밑돌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오름세 둔화에도 개인서비스 및 가공식품 가격의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5%대 중후반의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과 기대인플레이션율도 4%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환율 상승의 영향 등이 추가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상당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시장에서는 미 달러화 강세와 엔화, 위안화 약세 등에 영향받아 원-달러 환율이 크게 상승하고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순유출되는 등 외환부문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
오는 11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예고됐다.
금융통화위원회는 "국내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물가가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