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시외버스터미널 현대화사업에 공론화 절차를 도입하고 투명성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지역 내 오랜 현안이자 시민 불신이 깊어질 뻔했던 사업을 바로잡으려는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제기돼온 의혹과 시민사회의 우려를 고려할 때 이제야 내놓은 조치라는 점에서 ‘뒤늦은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
청주시는 내년도 예산에 여론조사 비용을 반영하고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사업 방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입찰공고 기간도 기존 7일에서 20일 이상으로 늘리고, 외부 법률자문을 통해 임차인 권리 보호에도 신경 쓰겠다고 한다. 늦었지만 필수적인 절차다. 시민의 재산과 직결되는 공공시설 개발이 사전 교감과 절차적 정당성 없이 밀실에서 추진된다면, 아무리 그 결과가 좋더라도 시민의 동의는 얻을 수 없다.
그동안 제기된 의혹은 단순한 오해가 아니라 정보 비공개와 불충분한 설명에서 비롯된 예고된 결과다. 특정 민간투자자와의 사전 협의 의혹, 터미널 부지의 과도한 평가, 임차인 보호 방안 미흡, 관련 자료 공개 부족 등은 현대화의 필요성과 별개로 충분히 지적될 만한 사안이었다. NH투자증권이 지분을 취득한 배경에 대한 해명도 있었지만, 보다 선제적이고 상세한 설명이 있었다면 굳이 논란으로까지 번지지 않았을 것이다.
시가 밝힌 1조원 규모의 민간투자와 2조원대 생산유발 효과 등은 분명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기대를 품게 한다. 그러나 그 전제가 되는 것은 '공공성'과 '투명성'이다. 주민과 입주 상인의 권리 보호, 정보의 충실한 공개, 시의회와의 성실한 협의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이 사업은 또 다른 갈등과 불신을 낳을 뿐이다.
청주시는 이제부터라도 현대화사업을 시민과 함께하는 공론의 장으로 전환해야 한다. 단순한 설명회가 아닌, 시민 의견을 실제 반영하는 숙의의 과정이 필요하다. 공공시설의 민간 매각과 개발은 수익성과 공익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고도의 행정이 요구되는 분야다. 청주시가 이번 시외버스터미널 현대화사업을 계기로 행정 신뢰 회복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을지 시민들은 다시 눈을 들어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