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태국 참전용사와 후손 20명 방한
1억5000만원 투입에도 안전·효과성 모두 의문
지역과 동떨어진 행사 기획, 시민 체감 성과 부재
계룡군문화축제가 올해 처음 시도한 6·25 참전국 후손 초청 행사는 축제의 품격을 높이기는커녕, 무리한 기획으로 안전과 효과성 모두에 의문만 남겼다.
필리핀과 태국에서 온 후손 16명과 고령 참전용사 4명 모두 20명을 불러들이는 데 1억5000만원을 쏟아부었지만, 남은 것은 실질적 성과가 아닌 부정적 평가였다.
핵심 쟁점은 참전용사 초청의 적기를 놓쳤다는 점이다. 대부분 90세를 넘긴 고령으로, 전쟁의 생생한 증언을 들을 수 있는 시기는 이미 지났다. 건강이 취약한 상황에서 무대에 세우는 방식은 감동을 주기보다 위험을 감수한 선택이었다. 실제로 93세 필리핀 참전용사가 행사 중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되는 일이 발생했으며, 다행히 신속한 대응으로 큰 사고는 면했지만 축제 운영의 허술함은 그대로 드러났다.
더 큰 문제는 이 행사가 해외 군악대 공연 취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조광국 의원의 발언 이후 급조된 흐름은 보여주기식 의전 행사로 귀결됐고, 정작 지역경제와 시민이 체감할 성과는 없었다. 관광 일정조차 계룡이 아닌 서울·경기권에 집중돼 "지역 축제의 의미가 어디에 있느냐"는 반발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계룡시민들은 "후손 초청의 발상 자체는 의미가 있었을 수 있으나, 고령 참전용사까지 무리하게 불러들인 것은 안전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1억5000만원이라는 큰 예산이 쓰였음에도 지역 경제와 주민이 체감할 성과가 없는 졸속 운영이 됐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억지 기획과 보여주기식 운영이 반복된다면 축제의 정체성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계룡군문화축제가 진정한 국제 교류와 시민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안전과 실효성, 그리고 지역민 중심이라는 원칙을 다시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 /계룡=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