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시민들 “지금도 500여 개 송전선로·송전탑으로 생활 고통”

▲ 23일 제천시민사회단체가 제천시청에서 송전선로 계획 백지화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날 시민사회단체는 요구안이 받아 들려질 때까지 저지 활동에 나설 것을 분명히 했다. 사진=독자제공
▲ 23일 제천시민사회단체가 제천시청에서 송전선로 계획 백지화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이날 시민사회단체는 요구안이 받아 들려질 때까지 저지 활동에 나설 것을 분명히 했다. 사진=독자제공

한전의 일방적인 강원 평창∼원주 초고압(345㎸급) 송전선로 건설 계획과 관련해 충북 제천지역 시민사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23일 송전선로 반대추진위는 제천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천이 최적 경과대역에 포함된 것을 수용할 수 없다”면서 “한전이 입지 선정을 강행한다면 제천시민들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진위는 “제천지역은 현재도 500여 개가 넘는 송전선로와 송전탑으로 전자파와 소음, 재산가치 하락으로 오랜 기간 고통을 받고 있다”며 “직선거리(평창∼원주)를 두고 제천으로 우회하려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추진위 등에 따르면 한전은 강릉에서 생산된 전력을 경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공급하기 위해 평창∼횡성∼영월∼제천∼원주를 지나는 78㎞ 구간에 송전선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송전선로가 지나는 제천지역은 4개 읍면동 17개 마을에 송전탑이 들어설 계획으로 시민들은 “강원과 경기지역 송전 사업에 제천이 희생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한전 측은 평창∼원주 구간에 소재한 원주비행장과 치악산국립공원을 피해 건설하는 관계로 제천지역으로 우회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시민들은 일괄되게 협의나 보상도 필요 없다는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면서 “결사반대 노선을 유지하면서 사업 저지 대책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 송전선로가 지나는 경유 계획도. 사진=제천시제공
▲ 송전선로가 지나는 경유 계획도. 사진=제천시제공

제천시의회도 성명을 통해 “전력공급과 아무런 관련 없는 제천시가 희생되는 것은 받아 드릴 수 없다. 시민과 연대해 계획이 철회되도록 저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엄태영 국회의원(제천·단양)도 보도 자료를 통해 “선로 통과지에 제천을 일방적으로 포함하고 절차는 끼워 맞춘 것에 불과하다”며 “한전이 주민 동의 없이 송전선로 건설을 강행한다면 국회의원이 가진 모든 권한과 책임을 동원해 주민과 함께 저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전 송전선로 입지선정위원회는 이달 29일 경과대역(송전탑이 지나는 2∼3㎞구역)을 확정한다. /제천=목성균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