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 충돌은 피해
시 "주민 설득 계속"
충북 청주시가 현도면에 추진 중인 재활용 선별센터 건립이 공사 첫날부터 또다시 멈춰 섰다. 시공사가 지난 7일 착공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이날 오전 시공사는 굴착기 등 장비를 투입해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현장에 모여든 주민 40여 명은 진입로 앞에서 반대 집회를 벌였다.
이들의 반발에 시공사는 장비를 내리지도 못했다. 한 주민은 차도에 누워 공사 차량 진입을 막는 등 강하게 저지했고 한동안 대치가 이어졌다.
다행히 시공사 측에서 무리한 진입을 시도하지 않아 물리적 충돌은 피했다.
시공사 관계자들이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나섰지만 주민들은 "물러가라"라며 맞서 대화가 이어지지 않았다.
시공사는 2027년 4월까지 공사를 완료하지 못하면 하루 1500만원에 달하는 지연배상금을 지체일수만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처지를 주민들에게 설명하며 협조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시공사 관계자는 "합법적으로 입찰 절차를 거쳐 낙찰받은 공사인데 이렇게 심각한 반대에 부딪힐 줄 몰랐다"라며 "지역업체로서 공사 기간이 길지 않아 하루빨리 착수해야 하는 상황이니 주민들의 이해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제주와 광주에서 재활용선별센터 건립을 감리했던 감리단장이 직접 나서 "이 시설은 완전 밀폐형 구조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시설"이라며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주민들은 "청주시는 각성하고 사업을 백지화하라"라고 외치며 반대를 이어갔다.
현도일반산업단지 내 죽전리 668 일원 1만9391㎡ 부지에 조성되는 재활용선별센터는 하루에 110t을 처리할 수 있는 자동선별시스템을 갖춘 폐쇄형 건물 2개 동으로 지어진다. 이곳은 주택과 상가에서 수거된 페트병, 종이, 캔 등을 분류·판매하는 단순 선별시설이다.
그동안 반대 주민들의 이의 제기와 행정절차 지연 등으로 장기간 표류하면서 국비 4억여 원을 반납했고 공사비 상승으로 인해 당초 267억9000만원이던 사업비도 100억여 원 늘어 371억원이 됐다. 사업 기간도 1년가량 연장됐다.
주민들은 절차상 하자, 소음과 환경오염 피해 가능성, 교통혼잡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시는 더는 이 사업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운영 중인 흥덕구 휴암동 재활용선별센터는 시설 노후화와 재활용품 반입량이 늘어 이미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9월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현도면 주민 500여 명과 현도산업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가 충북도지사를 상대로 제기한 '산업단지계획 변경 승인 취소 청구'를 기각했다.
시 관계자는 "모든 법적 절차를 완료했고 현재까지 사업과정 전반에 대해 어떠한 법적·절차적 하자도 없음을 확인했다"라며 "최신 방진시설을 설치할 예정이지만 주민들은 무조건 백지화를 요구해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시의 재활용 정책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공사를 진행하되 주민들과 대화와 설득을 이어가겠다"라고 강조했다. /박장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