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충청일보 이득수기자]  청와대 ‘비선실세’로 불리는 최순실씨가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본명 김귀옥)과 오랜 친분이 있는 관계라는 증언이 나왔다. 이로써 방위산업체 주변에선 최씨와 린다 김의 관계에 주목해 최씨가 무기 거래에도 개입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린다김과 최순실의 친분설은 정의당 김종대 의원(비례대표)의 발언으로 불거졌다. 또 린다 김과 접촉했던 한 방산업계 인사가 “린다 김이 최순실씨 얘기를 하는 걸 직접 들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두 사람이 알고 지낸 건 맞다”면서 “그러나 동업을 했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린다 김은 현재 필로폰 복용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방산업계에선 최씨가 국내의 미국과 유럽 쪽 방산업체 일을 대행하는 에이전트에 전화를 걸어 함께 사업을 해 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했다는 말도 나돈다. 방산업체 인사의 증언에 따르면 최씨가 LA의 린다 김 자택에서 오래 머문 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씨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무기도입 사업은 차기 전투기(F-X) 사업이다. 공군이 보유한 F-4 등 노후 전투기들을 대체하는 사업으로 7조3000억원대의 예산이 투입된다.

 
국회 국방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이 사업은 당초 2013년 9월 보잉사의 F-15SE를 낙점할 예정이었지만 국방부 당국자가 기종을 결정할 방위사업추진위원 20여 명에게 전화를 걸어 부결의 필요성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그해 9월 24일 열린 방추위에서 F-15SE를 부결했고, 두 달여 뒤 록히드마틴의 F-35A를 단독으로 올려 기종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야권은 이 과정에서 최씨가 모종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의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방부 당국자는 “당시 전투기를 사용하게 될 공군이 F-35를 원했고, 역대 공군참모총장들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기종 교체를 요구했다”며 “기종 교체에 개입하려면 공군과 합참, 방사청, 국방부에 전방위 로비가 필요한데 당시 그런 일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