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충청일보 이득수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비선 실세 최순실의 국정 농단 뇌물수수 사건에서 공동정범 관계로 드러나 향후 직무 수행에 결정적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야와 2선 후퇴를 요구해 온 야당이 박 대통령의 범죄 연루 혐의 발표를 계기로 퇴진 압박 수위를 높여갈 명분을 확보하는 한편,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를 추진할 동력을 얻게 됐다.

이에 따라 야권과 박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이끌어 온 시민사회단체들의 구호도 '퇴진'에서 '탄핵 추진'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의 대통령 직접 조사에 대한 방어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상황이다.

지난 18일에 이어 공소장 작성 하루 전인 19일까지는 박 대통령을 대면 조사해야 한다는 검찰의 요청을 거부한 것이 불리하게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변호를 맡은 유영하 변호사를 중심으로 검찰 발표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조만간 실시될 검찰의 대면 조사에 대비하고 있다.

수석비서관 이상 청와대 핵심 참모진들은 이날 전원 출근해 검찰의 발표를 지켜보고 한광옥 비서실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대응과 입장 발표 등을 검토했다.

특히 검찰이 중간 수사 발표 직후 비공개 기자회견에서 성난 민심을 염두에 두고 박 대통령을 직접 불러 조사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공언해 참모진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현재의 국민 정서 상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를 계속 미루기는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검찰의 범죄 공모 혐의 발표에 대해 최씨와 안 전 수석에게 강제 모금을 지시한 사실이 없고 공무상기밀누설 등에 대해서도 검찰 발표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그간 한 달 이상 국정 공백 상태를 겪었으나 최근 다시 대통령의 정상 업무 재개를 추진해왔는데 검찰의 공동정범 발표로 인해 정국이 급속히 탄핵 소용돌이에 빠져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