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9일 국회 본회의 상정
가결 정족수 200명 확보 여부 초미의 관심
퇴진 시한·여야 협상 등 탄핵정국 '변수'
[서울=충청일보 김홍민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는 9일이 속한 '운명의 한주'가 시작됐지만 정국의 기상도는 여전히 안개 속이다.
야3당은 지난 3일 새벽 탄핵소추안을 공동 발의했고 국회법에 따라 오는 9일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역시 최대 관심사는 탄핵안이 가결정족수(재적의원 300명중 200명)를 채울 수 있느냐이다.
야당과 무소속 의원이 172명이어서 새누리당에서 최소 28명이 탄핵에 동참해야 한다.
부결될 경우 탄핵안을 발의했던 야3당으로서는 지지층으로부터 박 대통령에게 면죄부만 준 '무능한 정당'이라는 거센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아울러 청와대로 향했던 민심의 분노가 새누리당으로 향할 공산이 크다.
청와대와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은 피 말리는 수싸움에 들어갔다는 관측이다.
◇朴대통령 4월 퇴진 밝힐까
새누리당은 지난주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의 '4월말 퇴진-6월말 대선'을 당론으로 추인했다.
문제는 박 대통령이 자신의 진퇴 문제에 대해 여야의 합의를 요구했다는 점이다.
청와대에서는 박 대통령이 여당의 요구를 수용했다고 밝힐 경우 야당이 서로 사전에 전략을 짠 것 아니냐고 반발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야당과 합의를 도출해 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여당 의원들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4월 퇴진, 6월 대선' 당론을 존중한다고 언급하거나, 별도의 추가 담화를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야 막판 협상 이룰까
야권은 4일 '무조건 탄핵' 기조를 거듭 확인했다.
야3당은 주말의 '최대 촛불' 민심을 확인하면서 다른 가능성을 차단하고 표결로만 달려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여기에는 사실상 비박(박근혜)계를 얼마나 설득해 가결 정족수를 채우느냐가 최대의 관건인 상황에서 자신감 있게 나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비박계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도 유리하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여야 간 협상은 물 건너갔다는 시각이다.
◇새누리 비주류 탄핵 참여 결정
새누리당 비주류로 구성된 비상시국위원회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일정을 밝히는 것과 무관하게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기로 했다. 이들은 탄핵안 표결 전까지 박 대통령 '조기 퇴진 로드맵'을 놓고 여야가 협상을 벌일 것도 촉구했다.
하지만 비주류의 대표격인 김무성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4월 퇴진시한을 제시하고 이를 수용한다면 탄핵까지 가는 데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던 만큼 모든 비주류가 이런 결정에 동참할 지는 미지수다.
탄핵안 표결에 가도 가결에 필요한 200명을 채우지 못할 수 있다는 얘기다.
탄핵안 표결까지 5일 동안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과 여야의 막판 협상 등 변수에 따라 비주류의 무게추가 어느 쪽으로 기울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