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위기’ 충북도립대 이대론 안된다

리더십 갖춘 총장 선출 중요
특화된 학과 중심 재편 시급
과감한 혁신만이 위기 돌파구
지역사회 적극적인 지원 절실

▲ 충북도립대학 본관 전경.
▲ 충북도립대학 본관 전경.

‘변화와 혁신.’ 요즘 대학가의 핵심 키워드다.

대학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언제 도태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학령인구 감소 등 대학의 위기가 엄습하면서 4개월가량 지속된 총장 공백을 메꿀 적임자 선출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

어떤 리더십을 갖춘 인물이 총장이 되느냐에 따라 대학의 경쟁력 측면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서다.

이 같은 난제를 놓고 충북도가 어떤 선택을 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충북도가 충북도립대 총장추천위원회가 추천한 2명의 차기 총장 후보 모두를 부적격 처리했다. 두 후보 모두 전국 최하위 수준인 충북도립대의 변화·혁신을 이끌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충북도립대는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후보자를 재공모하고, 내달 중 총장추천위원회를 열어 새 총장 후보자를 선출할 계획이다.

당장 내년 대학에 입학할 자원들이 올해보다 3만8000여 명이 줄어든다. 입시 사상 처음으로 수험생 40만명선이 무너진다.

줄어드는 수험생 숫자는 정원 3000여 명의 종합 대학 10개 이상이 문을 닫아야 할 규모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대학가 속설이 현실화로 다가오고 있다.

충북도립대가 근본적인 혁신과 체질 개선 등 제도적인 장치를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학교수들의 저조한 연구실적이 사실로 드러났다.

평가시스템을 바꾸는 등 획기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모든 교수의 연구실적을 엄격한 잣대로 평가해야 한다. ‘철밥통 교수’가 상존하는 한 대학 발전은 요원하다.

학교 시스템이 아직도 20세기에 기반을 둔 건 아닌지, 미래 경쟁력을 갖췄는지 자문해야 한다.

대학의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감한 구조조정 노력이 필요하다.

경쟁력을 가진 특화된 학과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 구조개혁을 늦추면 더 이상 생존을 장담할 수 없다.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도 요구된다. 충북도립대와 옥천군이 힘을 합쳐 지역 현실에 맞는 혁신 전략을 만들고 예산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대학이 발전할 수 있는 큰 그림 속에 단계적 발전방안을 담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충북도립대 내부사정을 잘 아는 A씨(65)는 “지방대학이 위기인 상황에서 도립대가 지금 같은 모습을 보인다면 존립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도립대가 충북의 산업을 선도하고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혁신안이 이행되지 않는다면 충북도가 단호한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옥천=이능희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