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이 79.4%(잠정)로 집계됐다.
1997년 15대 대선(80.6%) 이후 28년 만에 최고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앞서 진행된 대선에서 당선인을 정확하게 맞춰 '캐스팅 보트'로 불린 충청권은 이번 대선에서 충북 77.3%, 충남76.0%, 세종 83.1%. 대전 78.7%으로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3일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4439만1871명 가운데 3524만416명(잠정)이 투표를 마쳤다.
지난달 29∼30일 1542만3607명이 참여한 사전투표(34.74%)를 비롯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의 투표율을 합산한 결과로, 20대 대선 총 투표자 수(3406만7853명)를 약 117만명 가량 넘긴 수치다.
당초 사전투표 합산 투표율이 역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 중 최고치로 나타나 최종 투표율이 1997년 15대 대선 이후 처음으로 80%를 돌파할지 주목됐지만 아쉽게 이에 미치진 못했다.
사전투표가 도입된 20대 대선의 최종 투표율은 77.1%, 19대 대선의 최종 투표율은 77.2%였다.
이날 본 투표율 역시 역대 대선과 비교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83.9%)이었으며, 전남(83.6%), 세종(83.1%), 전북(82.5%) 등이 뒤를 이었다.
합산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74.6%), 충남(76.0%), 충북(77.3%)에 이어 강원(77.6%) 등 순이다.
수도권의 투표율은 서울 80.1%, 경기 79.4%, 인천 77.7%다.
일반적인 대선은 선거일 당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총 12시간 동안 투표를 하지만, 이번 대선과 같은 궐위선거의 경우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총 14시간 동안 투표를 한다.
앞서 진행한 대선, 지선 등에서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세종시는 이번 대선에서도 '투표율 상위권'을 유지했다.
세종은 시 출범 이후 치러진 여러 선거에서 1~3위를 기록했다.
세종시는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투표율 70.1%를 기록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높았다.
당시 70%를 넘어선 것은 세종시가 유일했다.
2020년 21대 총선 때에는 투표율 68.5%를 기록해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세종시 출범 직전 실시된 2012년 19대 총선에서도 59.2%로 전국 1위를 차지했고, 2016년 20대 총선에선 63.5%로 2위에 올랐다.
세종 뿐 아니라 충북, 충남, 대전 등도 역대 최고 대선 투표율을 기록했다.
충북은 역대 대선에서 당선인을 정확하게 맞춰 '민심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 만큼 투표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컸다.
충북은 1987년 직선제 부활 이후 치러진 8번의 대선에서 당선인을 모두 맞췄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한 기록이다.
국토의 중앙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특정 진영에 치우치지 않는 지역 정서가 이런 결과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15대 대선에서 당선한 고 김대중 대통령의 충북 득표율은 37.43%로 낙선한 이회창 후보 30.79%보다 높았다.
16대 대선에서도 고 노무현 대통령이 50.41%를 얻으며 42.89%를 득표한 이회창 후보를 눌렀다.
양자 대결이 펼쳐질 경우 충북에서 50% 득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한 점도 충북 표심의 특징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18대 대선 당시 충북에서 56.22%를 득표했고 20대 대선 당시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충북에서 50.67%를 얻으며 최종 득표율 48.6%로 승리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충청은 여야 모두에게 중요 공략지"라며 "충청권에서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만큼 선거 결과와 족집게 표심 여부 등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전했다.
/진재석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