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와 충남도정 75년…공주·대전 거쳐 내포시대 개막

▲ 내포신도시의 현재 충남도청사.
▲ 내포신도시의 현재 충남도청사.

충남도청은 당초 조선시대 충청감영(監營)이 있던 공주가 1896년 충청남도로 분리된 후 충남도청 소재지가 됐지만 경부선 철도에서 벗어난 지역에 위치해 있던 탓에 교통 불편 등의 이유로 일제강점기 때인 1932년 충청남도 대전시로 이전한 후 본격적으로 교통과 산업·문화가 발달하는 충남도청 소재지로써 면모를 갖춰나가기 시작했다.

본보는 창간 75주년을 맞아 충남도청이 지난 75년 동안 걸어온 발자취를 재조명해본다.<편집자 주>      

▲ 1960년 6월 충남도청 증축공사 모습.
▲ 1960년 6월 충남도청 증축공사 모습.

 

태동_ 도청 건립 '역사적 배경'

충남도청의 이전은 1910년 전후해 호남선 철도 부설이 논의되면서 주로 대전지역 일본인 거류민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됐다.

조선총독부는 1925년 도청이전 문제를 거론하면서 경상남도 도청이전과 함께 충청남북도를 합쳐 충청도청을 조치원에 설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이후 도청 이전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자 공주지역 유지들은 1931년 1월 16일 시민대회를 열어 '도청 이전은 총독정치 본령에 반하는 것'이라는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결사적으로 반대했으나 도 평의회에서 공주지역출신 의원을 제외한 전원이 '사무능률 증진' 등의 이유로 대전으로의 이전에 힘을 실어주었고 '조선총독부령 48호'를 근거해 1932년 6월 17일 공주에서 대전으로 충남도청이 이전하게 됐다. 

 

▲ 1980년대 대전에 있던 충남도청 모습.
▲ 1980년대 대전에 있던 충남도청 모습.

 

5市 15郡으로_ 본격적인 대전 시대

충남도청은 1932년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시·군 직제개편에 착수해 당시 전라북도 땅이었던 금산군을 대전으로 편입하는 한편, 천안읍을 천안시로 승격하면서 5시 15군으로 편성됐으며, 당진읍이 꾸준한 인구증가로 인해 지난 2012년 시로 전환되면서 8시 7군으로 개편됐다. 이후 현재에는 8시, 7군, 24읍, 137면, 46동, 4출장소 체제로 행정구역이 정해졌다.

 

인구 급증_ 지역사회 발전과 도청

충남은 하나의 지방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로서, 중앙정부의 하부구조로서 도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여건을 조성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면서 그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도청이 있는 대전은 지리적으로는 국토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면서 국토의 남부와 중부, 북부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인데다 역사적으로는 한반도가 발전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쳐온 중국과 서해를 두고 직면해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교류 등을 통해 대전이 경제적으로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여기서 지역발전의 근간이 되는 인구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지금부터 125년 전인 1896년도 충청남도의 인구가 39만명이던 것이 조선말엽까지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급증하기 시작해 8·15 해방과 6·25 동란을 계기로 대규모적인 사회·자연적 증가로 인해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었다.

충청남도의 인구는 1985년 이후 300만명을 넘어서면서 절정기에 올랐었으나 농어촌 인구의 도시이주 현상으로 감소했고, 1989년 대전시가 직할시로 전환으로 분류되면서 2021년 1월 현재 211만9837명을 유지하고 있다.

▲ 1989년 1월 4일자 충청일보 지면. 충남도에 속해있던 대전시는 이 해에 직할시로 승격되며 충남도에서 분리됐다.
▲ 1989년 1월 4일자 충청일보 지면. 충남도에 속해있던 대전시는 이 해에 직할시로 승격되며 충남도에서 분리됐다.

수출 규모 증가_ 충남 산업경제

충청남도는 1910년께 만해도 공업이라고 해야 공장수가 7개 업체에 종업원이 214명에 지나지 않는 전형적인 농업 지역이었다.

그러나 지난 100년 동안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고 1960년∼1970년대에 공업화 정책, 대전광역시로의 분리, 서해안시대를 맞으면서 농림 어업이 총 생산액의 22.6%. 제조업이 22.8%를 차지할 만큼 산업경제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10년 이전의 구한말 산업과 1910년∼1945년의 일제 강점기의 산업, 1945년∼1959년의 해방 후의 격동기 등을 거치면서 충남의 산업경제는 착실하게 기반을 다지면서 오늘의 경제를 이룩해낸 것이다.

1945년 해방을 맞이했으나 좌우익의 대립으로 지속된 정정의 불안과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는 했으나 6·25전쟁 발발로 인해 국가 재건의 기치를 채 펴기도 전에 대한민국의 경제를 암울한 절망의 시대를 겪어야 했다.

당시 일제 잔재 청산, 민족통일, 경제발전 등이 기대됐었지만 이승만 정권은 어느 것 하나 이루지 못한 채 3·5 부정선거로 인해 처참하게 무너지면서 대한민국 경제는 격동의 시기를 맞게 됐다.

당시 종업원 수가 50인 이상 되는 충남도의 공장 수는 181개, 종업원 수 50인 이하는 28개 업체 등 총 공장 수가 209개였으나 일제의 패망 후 187개 공장이 국가에 귀속되는 바람에 충남도의 경제가 재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었다. 

1960년대는 한국 경제가 오랫동안의 가난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경제개발의 본궤도에 진입하는 의미 깊은 시기로 꼽힌다.

5·16군사혁명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시대가 개박되면서 1962년 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으로 한국의 경제가 힘을 얻기 시작하면서 충남경제도 본격적인 해외수출의 발판을 만들고 1966년도 수출액이 1260만 달러에 불과했던 규모가 28년 만인 1994년에는 81억 8760만 달러로 무려 650배가 증가하는 획기적인 경제중흥의 시대를 맞기도 했다.

공장수도 해방직후 1248개에 불과하던 것이 1970년 4만5405개, 1980년 8만7580개, 1994년도에는 9만7736개로 늘어나는 등 충남경제가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

 

자원 풍족_ 충남 농· 축·수산업

충남의 농업은 경지율이 높고 수자원이 풍부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예부터 지역경제의 중심이 되어 왔다. 특히 서해안 지역은 리아스식 해안으로서 간척자원이 풍부해 농지자원의 개발 잠재성이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1995년 WTO 출범에 따라 국내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충남지역의 농업은 경쟁력이 낮은 작목의 생산 가소 및 농업소득의 정체가 예상되기도 했었으나 농업생산 구조와 유통체계의 변화 등에 힘입어 상업농 및 기업농의 역할이 커지면서 국제 경쟁력이 있는 작목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한 수출이 농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축산업은 미·맥 위주의 경종농업을 위해 축력을 이용하고 퇴비를 얻거나 농가의 부산물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이용해 여가의 노동력을 활용하는 부업형 축산이 대부분이었으나 1962년 경제개발 속에 축산진흥정책이 포함되면서 경종농업의 종속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하나의 산업으로 탈바꿈하는 계기를 만들게 됐다.

이에 따라 가축의 개량과 증식을 뒷받침해주는 낙농진흥법, 사료관리법, 초지법 등 축산진흥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면서 축산업 중흥의 시대를 맞게 됐다.

충남의 축산업은 홍성군과 예산군이 전국 최고의 축산단지를 자랑할 만큼 미래의 성정산업으로 발전할 전망을 가능케 해주고 있다.

서해 바다에 접하고 있는 충남은 태안반도와 금강하구만을 빼고는 해안선 길이가 935km에 달하는 국내에서 2번째로 긴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으면서 간만의 차이가 크고, 간석지가 잘 발달해 수산자원이 풍족한 편이다.

이곳에서는 김, 굴, 바지락 등의 천연서식지가 되고 있으며, 조기, 갈치, 우럭, 꽃게 등 한류성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 2013년 1월 2일자 충청일보 지면에 보도된 내포신도시 특집 기사. 충남도는 대전에서의 80년 역사를 마감하고 이 해부터 내포에서 새 둥지를 틀었다.
▲ 2013년 1월 2일자 충청일보 지면에 보도된 내포신도시 특집 기사. 충남도는 대전에서의 80년 역사를 마감하고 이 해부터 내포에서 새 둥지를 틀었다.

도정 이전_ 내포시대 열리다

충남도청은 지난 2012년 1월 충남 홍성군·예산군에 조성된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내포시대를 맞았다.

충남도청은 공주에서 대전으로, 다시 내포신도시로 천도(遷都)를 단행함으로써 우리 선조들이 20세기 전반기에 겪은 우리 민족의 영욕과 시련의 세월을 뒤로하고 21세기 충남의 새로운 모습을 향해 도전의 길을 떠났다. 

지금까지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경부 축 중심의 국토개발과 수도권에 편중된 개발이었다면 앞으로는 중소도시 중심의 개발이 주류를 이루면서 충남지역의 재개발이 한층 부각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때를 같이해 1988년 서해안권 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된 것도 앞으로는 한국경제의 한 축을 충남이 담당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서해안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충남은 지역적으로는 중부권의 핵심리더로, 국가적으로는 나라발전을 이끌어가는 중심축으로, 국제적으로는 동북아 경제권의 거점지역으로 충남의 21세기 위상이 내포시대를 축으로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내포신도시는 2016년부터 건설사업의 2단계인 발전단계에 이어 3단계인 정착단계에 진입해 고속도로, 국도 등 국가기간 교통망과의 연계체계와 신도시 내 방사순환 형 교통체계를 통해 도내 모든 지역에서 1시간 이내 접근이 가능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과 도시가스·쓰레기자동집하시설, 집단에너지시설 등 도시로서 갖춰야 할 기반시설을 완료하는 등 신도시로서의 기능을 갖춰놓고 있다.

 

유비쿼터스_ 스마트 도시 구축

충남도청의 직제는 도지사 산하 11실·국·본부(3실, 7국 1본부), 54과(3관, 4담당관, 46과, 1센터), 1의회, 21개 직속기관, 7사업소, 1합의제행정기관(감사위원회)이며, 도·시·군 전체 공무원수는 1만7523명이 200만 충남도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

충남도는 내포시대를 열어가면서 내적으로는 첨단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해 신도시 지역경쟁력 및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도시건설에 주력하면서 외적으로는 기존의 도청 유관기관을 내포신도시에 안착시킨 결과 71개 도청 유관기관 이전을 완료했다.

지난해 말 내포혁신도시가 지정됨에 따라 수도권에 있는 정부산하 공공기관유치와 종합병원급 의료시설과 대학유치는 앞으로 충남도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박보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