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넘는 세월 속에서 흘러간 대한민국 현대사

'역사의 증인' 충청일보가 창간 75주년을 맞았다. 지난 1946년 3월 1일 '국민일보'로 창간 후 1954년 3월 1일 '충북신보'로 변경했다가 1960년 8월 15일 지금의 이름으로 바뀐 충청일보는 그동안 크고 작은 부침을 이겨내며 충청권 독자들과 70여 년의 세월을 함께했다. 본보는 75주년을 맞아 그동안 지역의 대표 언론으로서 목도하고 독자들에게 알려 온 대한민국과 지역의 굵직한 역사를 다시 한 번 되짚어본다.

△민족의 비극 6·25… 전쟁 통에도 신문 발행

1946년 3월 1일 현재의 청주 남문로2가에 있던 대동인쇄소에서 한지에 인쇄한 타블로이드 2면의 창간호로 세상에 첫 선을 보인 충청일보는 이후 5호까지 발행한 뒤 인쇄 시설 등의 보강을 끝내고 2개월 뒤인 5월 28일 6호를 발행하며 지역 대표 신문으로서의 출발을 알렸다.

1950년에는 뜻하지 않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충청일보 역시 대부분의 시설이 불타 버리고 직원들이 피난을 떠나 장기 휴간 상태에 들어갔으나 같은 해 9월 28일 이광 지사의 협조를 얻어 인쇄가 아닌 등사판으로 수복판 1만여 부를 제작, 피난길에서 돌아오는 도민들에게 배포함으로써 역경 속에서도 언론으로서의 사명을 다하려 노력했다.

 

▲ 1967년 12월 12일자 3면
▲ 1967년 12월 12일자 3면

△충북도 폐도설에 도민 반대 여론 이끌어
1967년 12월 10일에는 충북도를 없앤다는 '폐도설'이 전해졌다.

정부가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충북의 남부를 충남에, 북부는 강원에 편입시켜 충북을 없앤다는 시안을 넣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충청일보의 1967년 12월 12일 3면 머리에는 '平地(평지)에 風波(풍파) 忠北(충북) 없앤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참을 수 없는 侮辱(모욕)'이 부제인 이 기사의 내용은 '10일 일요일 아침 단잠을 깬 충북도민들은 이날 새벽에 배달된 조간지에서 충북을 없앤다는 보도를 보고 청천벽력의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이 문제가 미치는 갖가지 영향과 그에 따르는 말할 수 없는 생활환경의 대변동을 전망한 도민들은 이윽고 흥분하기 시작, 걷잡을 수 없는 평지풍파가 일 조짐을 나타냈다'고 요약된다.

▲ 1967년 12월 13일자 3면
▲ 1967년 12월 13일자 3면

13일 3면에도 '擧道的(거도적) 鬪委(투위) 構成(구성)하라'는 제목의 기사가 머리를 장식했다.

'충북의 폐합설이 파죽지세로 번짐으로써 도민의 충격과 분노는 극에 달하고 있는 작금 김효영 충북지사의 있을 수 없는 허설이라는 공식 표명이 있음으로써 다소의 안도감을 주었으나 12일자 서울 모 일간지에 내무부 지방국장의 경제통합작업에 따른 공식 발표로 하나의 허설에 불과한 『테마』가 아니라는 사실에 또다시 전 도민은 좌시하고 있을 수 없는 단계임을 간파, 시급한 대책과 필요에 따라서는 결사반대를 도모키 위한 거도적인 투쟁위원회를 구성해야 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하고 최악의 굴욕을 모면하자는 한결같은 소리가 높아가고 있다'는 내용이다.

▲ 1967년 12월 15일자 3면
▲ 1967년 12월 15일자 3면

 

이어 15일 3면엔 '忠北廢道反對鬪委(충북폐도반대투위) 마침내 發足(발족)' 제하에 '충북을 쪼개 없앤다는 데에 대한 전 도민의 격앙된 분노는 마침내 한데 뭉쳐서 14일 하오 청주상공회의소에서 忠北廢道反對鬪委(충북폐도반대투위)가 결성되었다. 따라서 160만 충북 말살 반대 투쟁은 이날 발족한 투위의 선도 아래 즉각적으로 거도적인 조직운동으로 번져나가게 됐다'는 기사가 역시 톱을 장식했다.

이처럼 충청일보는 비등해가는 반대 여론을 담은 기사를 연일 보도하면서 도민 여론 분출의 창구 역할을 했고 그 결과 정부는 결국 이 폐도안을 폐기했다.

▲ 국군의 날 행사 때 박정희 초상을 표현한 카드섹션.
▲ 국군의 날 행사 때 박정희 초상을 표현한 카드섹션.

△박정희 대통령 암살 10·26 사건
1979년 10월 26일 오후 7시 40분쯤 서울 종로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安家)에서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시해했다.

1972년 시작된 유신 체제는 중화학 공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로 경제 악화를 가져왔고, 1인 장기 집권으로 인한 강압 통치를 펼쳤다.

대외적으로는 한국 인권 상황 개선을 종용한 미국 카터 행정부와의 불화 등 정치·경제적 모순이 반정부 시위로 폭발, 박정희 정권이 정치적 위기를 맞던 중 발생한 이 사건은 후일 전두환 정권 수립의 계기가 됐다.

▲ 1979년 10월 28일자 1면
▲ 1979년 10월 28일자 1면

충청일보는 1979년 10월 28일 1면 '朴大統領 서거'라는 제목의 기사를 '박정희 대통령은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발사한 총탄을 맞고 26일 오후 7시 50분 서거했으며 최규하 국무총리가 헌법 48조 규정에 의거, 대통령 권한을 대행한다고 정부 대변인이 27일 오전 7시 30분 발표했다'는 내용으로 대서특필했다.

△전두환의 신군부… 12·12 군사 반란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같은 해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이 중심인 하나회 세력이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김진기 육군헌병감 등을 체포했다.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은 이 12·12 군사 반란으로 군부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했다. 이후 1980년 5월 전두환이 중심인 신군부는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으며 5·17 쿠데타에 항거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했다.

전두환은 그 해 8월 22일 육군 대장으로 예편했고 다음 달인 9월 대한민국 11대 대통령이 됐다.

▲ 광주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던 전남도청 별관.
▲ 광주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던 전남도청 별관.

△21세기에도 현재진행형…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혹은 광주 민중 항쟁은 1980년 5월 18~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남도민이 중심이 돼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다.

당시 광주시민은 신군부가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한 5·17 비상계엄 전국 확대로 인해 생긴 헌정 파괴·민주화 역행에 항거했고 신군부는 사전에 시위 진압 훈련을 받은 공수부대를 투입,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면서 수많은 시민이 희생됐다.

하지만 국내에선 언론이 통제돼 실상을 제대로 알릴 수 없었고 독일 1공영방송 ARD의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가 당시의 참상을 세계에 처음 알렸다.

▲ 1980년 5월 18일자 1면
▲ 1980년 5월 18일자 1면
▲ 1980년 5월 28일 1면
▲ 1980년 5월 28일 1면

충청일보는 1980년 5월 18일자 1면에 '비상계엄 전국 일원으로 확대' 제하의 기사에서 '정부는 18일 0시를 기해 비상계엄 선포지역을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일원으로 변경했다'고 보도했다.

이틀 뒤인 20일자 1면에도 '政治(정치)활동 禁止(금지)·全國大學(전국대학) 休校(휴교)조치'라는 제목으로 계엄 상황만 전했을 뿐, 실질적인 내용은 알리지 못 했다.
 

▲1993년 2월 25일 1면
▲1993년 2월 25일 1면

△군인 아닌 민간인에 의한 문민정부 출범
대한민국은 1961년 박정희의 5·16 군사정변 이후 32년 동안 전두환과 노태우 등으로 이어지는 군사정권이 통치해왔다.

그러나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고 1993년 2월 25일엔 14대 대통령으로 일반인 김영삼이 취임하면서 군인이 아닌 일반인 출신의 대통령이 통치하는 문민정부가 시작됐다. /신홍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