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보건硏, 바이러스 유전자 비교·분석
추가 변이 없어… 포유동물 대상 실험 진행

[충청일보 송근섭기자]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에서 발생한 H5N6형 AI(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30일 밝혔다.
질본과 보건연구원은 국내에서 확인된 H5N6형 바이러스 유전자를 중국과 베트남 등 다른 나라에서 확인된 바이러스와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인체감염 위험성이 증가하는 등 추가 변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유라시안 계열 저병원성 AI에서 유래한 'PA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마찬가지로 포유동물에서의 병원성 증가와 관련된 주요 유전자는 변하지 않았다.
PA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복제·증식에 관여하며, 이 유전자의 특정 변이는 포유류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PA 유전자에서 변이가 발견됐다면 포유동물에 대한 감염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현재 이 같은 변이는 없다는 뜻이다.
또 AI 예방·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오셀타미비어·자나미비어 등)에 내성을 갖게 되는 경우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도 없다고 설명했다.
질본과 보건연구원은 이 같은 유전자 분석에 이어 인체감염 위험성을 직접 평가하기 위해 동물 감염 실험도 진행 중이다. 사람과 가장 유사한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족제비·생쥐 등 포유동물을 바이러스에 감염시켜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 같은 동물감염실험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약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본 관계자는 "AI 인체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들의 협조가 중요하므로 축산농가·철새도래지 방문을 자제하고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며 "야생조류 접촉력이 있거나 살처분 관련 작업에 참여한 후 10일 이내 열이나 호흡기 증상 등이 발생하면 즉지 보건소 등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