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우유 등으로 점심 해결
충북학비연대, 어제 교육청서
처우개선 요구 집회 개최

[충청일보=장병갑·이한영기자]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충청권 일선 학교 곳곳에서도 학교급식 차질이 빚어졌다.
파업 첫날인 29일 충북도내에서는 조리원 등 노조원 129명(58개교)이 비정규직 철폐 등을 외치며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교육청을 파악했다.
이로 인해 8개교에서 학교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6개교는 무상급식비 하루 단가 범위에서 빵과 우유 등 간편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했고, 한 산골 초등학교는 집에서 싸온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었다.
또 다른 한 학교는 당초 편성한 메뉴 대신 볶음밥을 만들어 식탁에 올렸다.
30일에는 168개교 639명으로 파업 참여 인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57개교에서 정상적으로 급식이 이뤄지지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대전지역에서도 88개 초·중·고등학교에서 급식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급식에 차질을 빚는 학교는 초등학교 59개, 중학교 15개, 고등학교 9개, 특수학교 2개, 유치원 3개 등이다.
파업 참가 학교 중 급식이 가능한 학교는 49개 학교이며 급식 대신 도시락, 빵과 우유로 대체급식을 제공한 학교는 39개 곳이다.
이 중 도시락 지참은 21개 학교, 빵, 우유 등을 제공하는 학교는 11개 학교 기타, 단축 수업(체험학습, 현장체험 등), 기말고사 등으로 급식을 제공하지 않는 학교가 6개 곳으로 집계됐다.
이번 파업에 교육공무직원 중 영양사, 조리사 등 학교급식 조리사원 419여 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파업을 진행되자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은 서한문에서 "이번 파업은 비정규직 철폐, 최저임금 1만 원 등 국민의 기본 생존권 보장과 관련한 대통령 공약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급식 종사자뿐 아니라 일자리와 생존권에 취약한 사회 각층의 삶의 질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하지만 급식 미실시나 약식 실시에 따른 학생들의 피해나 학부모들의 불편함도 적지 않게 예상된다"고 우려하며 맞벌이 가정이나 돌봄 취약 저학년 아동에 대한 학교 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했다.
충북교육공무직노조와 학교비정규직노조로 구성된 학비연대 회원 180여 명은 파업 첫날 도교육청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처우개선을 요구했다.
학비연대는 "무기계약직은 '무기한 비정규직' '영원히 차별의 감옥'일 뿐임을 몸소 체감해 왔다"며 "학교 모든 곳에서 땀을 흘려도 영원히 정규직의 60% 임금수준 머문 차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학비연대는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으로 임단협 교섭에 임해 노동조합의 요구를 풀어가길 바란다"며 "그렇지 않다면 도교육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더 높여 투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학비연대의 핵심 요구사항은 장기근무가산금을 근속수당으로 변경해 매년 5만원씩 수당을 인상하는 호봉제 도입이다.
그러나 충북도교육청은 이 같은 요구사항을 수용했을 때 인건비 174억 원이 추가로 들어간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