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충북지사 책임론 강조
여, 늦장 •부실 대응 집중 추궁
불기소 처분 지적 재수사 요구
야 "특정인 타깃•기소 압력"

▲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청주 오송지하차도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에서 김영환 충북지사가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청주 오송지하차도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에서 김영환 충북지사가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북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오송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가 시작부터 치열한 공방을 연출했다. 

10일 국회 본관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오송 참사 국정조사 기관보고는 김영환 충북도지사의 책임을 추궁하는 청문회에 가까웠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 의원들은 김 지사의 책임을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지자체의 미흡한 하천 시설물 점검뿐 아니라 사고 당일 김 지사의 대응 방식이 사고를 참사로 키웠다는 취지다.

또 김 지사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 불기소 처분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에 김 지사는 "저를 기소시키기 위한 국정조사" "정치 탄압"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날 기관보고에는 김 충북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 윤희근 전 경찰청장 등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이연희 의원(민주당·충북 청주 흥덕)은 "오송참사를 막을 수 있었던 결정적 순간이 최소 세 차례 있었지만 이 부분에 대해 검찰 수사가 없다""며 "특정인을 봐주기 위해 엉터리 수사를 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김 지사에 대해 부실·늦장 대응, 업무상 과실치사 및 중대재해법으로 재수사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위성곤 의원도 "검찰은 그동안 권력의 눈치를 보고 친소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조사 형태를 보여왔기에 누군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돕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해식 의원은 "충북도는 자체 예산을 반영해 진입 차단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왜 특별교부세에만 의존해서 계속 이런 미설치를 방치했느냐"라며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한 (시설 등) 점검을 해야 하지만 충북도는 3~5월 정기점검 등을 하지 않았다"고 추궁했다.

반면 국민의힘과 김 지사는 여당이 김 지사를 공격하기 위한 국정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범수 의원은 "국정조사 회의 분위기가 특정인을 타깃팅하기 위한 분위기로 흘러가는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주호영 의원도 "국정조사가 마치 한 사람 기소 압력을 넣는 듯 진행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답변에 나선 김 지사도 "어떠한 책임도 회피할 생각이 없다"면서도 "국정조사가 단 한 사람 기소를 위해 한 적이 있나. 이게 정치탄압이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반발했다. 

김 지사는 "침수 지역이 아닌데 그걸 도지사가 알고 있었느냐, 몰랐느냐 그리고 특교세를 어떻게 했느냐 이야기를 하는 건 너무 결과론적인 말씀"이라며 "기소를 하시라, 재수사를 하시라. 법원에서 따져보겠다"라고 답했다. 
 /배명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